아들 기우는 동냥질하던 윗집의 wifi에 암호가 걸리면서 사용할 수 없게되자 다른 wifi spot을 찾아 집안 여기저기를 헤매다가 목욕탕의 양변기(이 변기가 걸작이다. 목욕탕 안에 마치 장독대처럼 어깨 높이 정도에 단이 창문 아래 있는데 그 단에 양변기가 설치되어 있다. 반지하 자체도 찌질함의 장치이지만 그런 반지하 중에서도 더욱 찌질함을 강조하기 위해서 목욕탕도 상당히 비정상적인 집을 구했다. 그런 집을 구한건지 아니면 세트적으로 설치한 건지 모르겠다.)에서 겨우 주변 커피샵의 wifi를 찾아낸다.
아내의 구박을 받으며 일어난 아버지 김기택(송강호)는 남아있는 식빵 쪼가리를 뜯어먹다가 식탁위에 있는 곱등이를 발견하고는 손가락으로 튕겨낸다.(죽이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론 아마 잡을 죽일텐데 감독의 의도는 생명을 함부로 죽이지 않는것을 보여주려 의도한 걸까? 라고도 생각할 순 있지만 그저 반지하면서도 집안도 제대로 치워놓고 살지 않는 빈곤함을 강조하기 위해 보여준 장치이지 싶다. 가난하고 찌질하고 더러우며 무력한...)
wifi를 찾아내자 기우의 엄마는 동네 피자집에 박스 접는 아르바이트에 대해 카톡으로 확인하라고 기우에게 이야기를 하고, 이어서 온 가족은 기우가 찾은 유튜브 동영상으로 피자박스 접는 방법을 보며 피자박스를 접기 시작한다.
곧이어 안방 창문(이 집이 반지하임을 잊지말자)으로 동네에 소독차가 지나가고 새하얀 소독가스가 열려진 창문으로 자욱하게 스며들며 가족들은 콜록거리며 피자박스를 접고, 그 와중에도 아버지 기택은 태연하게 유투브를 보아가며 박스를 접는다.
뒤이어 피자집에서 박스를 수거하러 오고, 피자집 주인(젊은 여자)이 검수과정에서 4개당 1개꼴의 불량(정황상 기택이 접은게 불량이라는 뉘앙스의 장면이 나온다. 여기까지의 정황으로 이 집의 상황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고 가장인 기택의 무능력이 이 집안의 가난의 근원임을 관객들에게 각인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아래 사진이 그 장면임.)
불량때문에 원래 피자박스 갯수값에서 10%를 제한 금액을 보수로 받은 후, 그 돈으로 기우의 미납 핸드폰 요금을 내서 중지를 풀고, 초저녁에 치맥을 하며 오랜만에 소확행을 즐기는 기택의 가족.
이 순간 기우의 친구(박서준)가 뜬금없이 수석(壽石) 한개를 들고 기택의 집을 방문한다. 수석은 친구 집을 방문하면서 선물로 들고 온 것인데 참 뜬금이 없지만, 이 수석은 영화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도 하고 무언가 상징하는 듯 하다.(무언가 감독의 의도가 있는건 확실하다. 기우가 이 수석을 들고 꽤 중요한 대사도 한다.)
친구의 소개로 기우는 굉장한 부자집 여자 고딩의 영어과외를 맡게 되면서 영화는 본격적인 이야기를 시작한다.
기우가 가짜 대학생으로 이 집에 소개되어 들어가게 되었듯이 누나(? 동생은 아닐 듯, 박소담)는 그 집의 남자아이의 미술심리치료사로, 아버지 기택은 운전기사로 모두 경력을 위조해서 들어가게 된다. 결국은 그 집에서 살림을 도맡던 가정부(일반적인 가정부다보다는 집사의 역할까지 하는)까지 내몰고 엄마까지 가정부로 들어오면서, 완벽하게 그 부잣집에 기생해서 먹고 사는 가족이 된다.
이 영화의 반전은 좀 상상하기 힘든 형태로 오기 때문에 영화적 재미를 위해서라도 영화관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다 보고 나면 무언가 망치로 후드려맞은 듯한 멍함이 한동안 가슴에 먹먹하게 남는다. 그렇다고 그리 찝찝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아주 즐겁지도 않고, 인생이 뭐 그럴 수도 있지 정도의 감상이 든다.
------------------------
이미 관객이 900만이 넘어서 1,000만을 향해 가고 있는 시점이다.(2019년 8월3일 현재, 1000만이 간당간당하게 넘었다.).
이 영화에서 개인적으로 인상적인 장면이 3개가 있다.
1. 부잣집 사람들이 캠핑을 갔다가 비가 많이 와서 급히 돌아오던 날, 기택의 가족들은 주인 없는 부잣집에서 일장춘몽과 같은 한바탕 숨막히는 난리를 겪은 후, 빗속을 걸어서 자신의 집으로 돌아온다. 집에 도착하니 저지대(였던 듯?)인 동네가 침수되고 딸내미는 집안에 들어가서 물이 차올라 오물이 역류하는 변기뚜겅위에 앉아 담배를 한대 꼬나문다. 이 장면에서 무언가 인생의 밑바닥이 있다면 저런 모습이겠구나라는 비루함이 느껴졌다.
2. 집이 침수되어서 기택의 가족은 그날밤 동네 체육관같은 대피소에서 마을 사람들과 밤을 지새게 된다. 그곳에서 아들 기우는 아버지 기택에게, 앞으로의 계획을 묻는다. 그 질문에 무계획이 가장 좋은 계획이야라고 대답하는 기택.
세상 사람들이 실패를 하는 이유가 계획을 세우기 때문이라며,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는 아무런 계획도 세우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계획이라는 그의 말에서 절망의 끝에 다다른 그의 심리를 옅볼 수 있었고, 그러한 말에 아들 기우는 무언지 구체적이진 않지만 아버지에게 미안함을 느끼고, 아버지 기택에게 "미안해요. 뭔지 모르지만 그냥 아버지에게 미안해요."라고 이야기한다.
3. 클라이막스 말미에 이선균은 차키를 던지라고 하고, 송강호는 머뭇거리다가 차키를 던지는데 그게 쇠꼬치에 찔려 쓰러진 남자밑에 깔리게 된다. 이선균은 그 남자 밑에서 차키를 줍는데 이때 이선균은 그 남자의 악취에 인상을 찌푸리고 코를 쥐면서 마치 더러운 물건을 마지 못해 짚는 듯 차키를 들어올린다. 이때, 송강호의 눈빛이 확 바뀌면서 이선균에게 다가간다.
이 전 장면에서도 몇 번 나오지만, 대저택의 사람들이 반지하방 사람들에게 나는 냄새에 반응하는 장면들이 있다.(아이가 첨에 송강호와 그 부인의 냄새가 같다는 걸 이야기하고, 두번째 조여정이 딸아이 생일파티를 위해 장을 보러 갔다 오면서 차안에서 운전기사인 송강호의 냄새에 질색하는 장면, 그리고 마지막에 의문의 남자에게 나는 악취에 코를 막는 이선균)
이 영화에서 냄새(구체적으론 악취라고 하겠다.)는 가진자와 가지지 못한 자를 구분하는 무형의 장치중 하나이며, 없는 자들이 생활의 곤궁함속에서 자신들도 모르게 풍기는 가난의 냄새와도 같다. 겉은 번지르르하게 꾸미지만 그들의 짠내나는 생활의 비루함으로부터 오는 그 냄새는 아무리 숨기려 해도 숨겨지지가 않고 결정적인 순간에 가난의 컴플렉스와 함께 제멋대로 튀어나오는 낙인과 같다.
송강호는 코를 쥐어막는 이선균을 통해서 (그것이 비록 타인의 냄새에 대한 반응이지만, 그도 자신과 같은 지하에 사는 부류라서 좀 과장되게 말하면 동료의식 혹은 자신과 일부 동일시하는 마음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 자신의 존재를 무시당하는 것 같은 분노를 느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영화는 나중에 dvd로 나오면 몇 번 더 보면서 내용과 미쟝센을 제대로 음미하면 좀 더 많은 생각거리와 이슈들을 던져줄 수 있을 것이다.
예고편에 보듯이 우주왕복선 발사 후, 정체 불명(태양의 플레어라고 첨엔 말하지만 태양에서 발생한 플레어가 그 정도의 크기로 지구를 덮치면 X-men을 포함 지구의 생명체는 모두 이 세상과 작별을 고해야 할 거다)의 에너지 플로우(이 에너지 덩어리는 우주를 탄생시킨 에너지라고 묘사된다. 어벤저스에서의 인피니티 스톤 정도라고나 할까?)가 지구로 다가오면서 우주왕복선이 위험에 처하게 된다.
위험에 처한 우주인들을 구하기 위해 엑스맨이 출동하고 우주인을 구하는 과정에서 진 그레이가 우주왕복선에 홀로 남게 된다. 그 와중에 에너지 플로우가 진그레이와 엑스제트를 탄 다른 엑스맨(+구조된 우주왕복선의 우주인)들을 덮치게 게 되는 일촉즉발의 상황이 닥친다. 이에 진 그레이는 그 에너지 플로우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자신쪽으로 향하게 하고 그 에너지를 자신의 몸에 다 받아들이게 된다.
어찌해서 진 그레이를 다시 엑스제트에 태워서 지구로 귀환하고 자비어 스쿨로 돌아와 진 그레이의 신체검사를 진행한 결과, 몸에는 별 이상이 없으나 진의 초능력 수치가 측정 불가정도로 증가해 있음이 발견된다. 시간이 가면서 그녀의 밝혀지는 능력치는 말 그대로 넘사벽으로, 찰스 자비에나 마그니토를 말 그대로 쌈싸먹는 수준이다.(당연하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어벤저스 인피니티 워에서 타노스가 인피니티 스톤 6개가 박힌 컨틀렛을 낀거라고 보면 된다.)
이번 에피에서 악당은 바로 이 에너지 플로우를 따라온 외계인이라는 설정이다.(제시카 차스테인이 외계인 대빵. 물론 외계인의 본래 모습은 그렇게 아름답지 않고, 파티중인 차스테인을 어찌어찌해서 흡수한다는 설정이다.)
이 외계인들이 에너지를 따라온 이유는 이 에너지가 자신들이 살던 행성을 파괴하고 지나갔기 때문이며, 그 에너지를 쫓아오면서 그 정체와 그 에너지를 손에 넣으면 자신들의 파괴된 행성과 같은 행성을 창조할 능력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라는 설정이다. 역시 인피워의 건틀렛 생각하면 될 듯)
그래서 그 에너지를 흡수한 진의 불완전한 상태를 이용하여 그 에너지를 흡수하려 하면서 지구와 엑스멘들에게 위기가 닥친다는 그런 이야기로 내용은 전개된다.
이번 편은 워낙 우주에너지를 흡수한 진의 능력이 넘사벽이라 막판으로 가면 그저 화려한 그래픽과 함께 진 그레이의 맹활약(?)을 지켜보는 통쾌함이 있다.(물론 이러한 밸런스 붕괴-찰스도 마그니토도 그저 한낱 어린아이처럼 만들어 버리는-때문에 최악이라는 평가가 생겼을 법도 하다는 생각은 든다.)
여태까지 나온 엑스맨들의 여러 캐릭터들의 궁합과 협력으로 악당을 물리친다는 아기자기함은 없지만 막강한 하나의 캐릭터가 적을 모두 쳐부순다는 통쾌함은 내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장르이기도 하다.
영화는 접촉사고 후 가해자가 피해자를 칼로 담그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이 살해장면을 수사한 경찰 정태석(김무열 분)
적당히 유능하고, 적당히 인간적이지만 잘 풀리지 않는 경찰생활에 약간의 염증을 갖고 있는 그는 이 살인사건이 최근 발생한 2차례의 살인과 동일범의 소행이라고 직감적으로 깨닫는다.
장동수(마동석 분)는 조직폭력배의 보스이다. 그는 지역에서 불법도박장을 영업하면서 정태석 형사가 근무하는 경찰서 반장에게 상납을 하고 불법행위를 보호받고 있다.
장동수는 어느 비오는 날 저녁 차를 몰고 집으로 돌아가는 도중, 살인마로부터 뒤에서 가볍지만은 않은 접촉사고를 당한다. 차가 좋아서인지 차도 별로 상하지 않아서 그냥 가라고 하지만 살인마는 끝내 등뒤에서 칼침을 놓고, 이에 당황하면서도 열받은 장동수는 칼을 맞은 상태에서도 기어이 칼을 빼앗아 살인마의 가슴에도 한 칼을 꽂는다. 살인마는 결국 탈출해서 칼에 맞은 장동수를 차로 치어버리고 도주한다.
시작부터 이 영화는 하드코어야라고 외치는 듯한 영화의 도입부에서 확 몰입이 된다.
영화는 내용처럼 그렇게 잔인한 장면이 나오진 않는다. 기술적으로 컷트를 잘 넘기면서 직접적인 잔인한 장면들을 잘 처리했다. 경찰과 조폭의 대립에 연쇄살인마라는 장치를 끼워넣어 극의 긴장감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부분이 영화 내내 몰입하게 하는 요소 중의 하나였다.
마동석의 카리스마가 극대화되었던 영화가 범죄도시인데, 이 영화에서는 조폭의 가오까지 더해져서 꽤 임팩트가 있는 액션 장면들이 나온다.
액션영화로서 수준급의 킬링타임 영화이며, 경찰과 조폭의 협력이라는 도식에 연쇄살인범이라는 장르를 섞어서 무언가 맛깔나는 짬뽕 한그릇 느낌의 영화로 잘 우려냈다.
은퇴(?)한 호크아이(제레미 레너)는 한적한 교외에서 가족들과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있던 중, 잠시 한 눈을 파는 사이 아내와 2명의 아들, 그리고 딸이 모두 사라진다.(타노스의 핑거스냅에 의한 반띵 장면을 의미)
그리고 영화는 시작된다.
타노스에게 패한 후, 네뷸라와 우주선을 타고 지구로 귀환하려던 토니 스타크는 우주선 고장으로 식량도 떨어지고 산소도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지쳐 죽음을 기다린다. 그러던 와중에 엄청난 빛덩어리와 함께 단발의 캐롤 댄버스가 나타난다. 캐롤은 우주선을 짊어지고 지구의 어벤저스 본부로 귀환하고, 토니는 페퍼와 감격의 재회를 한다.
어벤저스 본부에서 일단 스티븐 로저스와 토니 스타크는 타노스의 패배로 인한 실망감, 그리고 그간 서로의 갈등이 폭발하면서 한바탕 설전을 벌인다.
타노스의 위치를 알고 있는 네뷸라와 함께 토르, 캐롤댄버스, 캡아, 아이언맨, 헐크 등등은 타노스가 있는 행성으로 간다.
이미 타노스는 반띵 임무를 완수하고는 6개의 인피니티스톤을 파괴해버린 후이다.
이에 이성을 잃은 토르는 타노스의 목을 따버린다.
그리고 5년이 흐른다.
5년 후, 양자영역을 탐험중이던 앤트맨은 지구에서 실험을 돕던 핌박사와 아내, 그리고 애인 와스프 모두가 반띵되면서 그대로 양자영역을 5년 동안(영화내에선 양자역역에선 5시간 헤매던 중으로 설정, 상대론의 time duration정도로 이해하자. 너무 자세히 이해하려 하지 마라) 헤매던 중이다.
당시 실험장치가 있던 소형 밴은 어떤 창고로 옮겨진 상태였다. 창고에서 서식하던 쥐새끼가 우연히 양자영역 실험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지나가고 앤트맨은 다시 현실로 복귀한다.
이후의 전개를 보면 진짜 여기까지의 이야기는 아무것도 아니다.
이 영화를 보고 나니, 정말 배트맨 다크나이트는 엄청난 걸작이구나라는 걸 느끼게 된다.
스토리의 완결성과 감정선의 흐름의 당위야말로 영화에 몰입하게 하는 기본이다. 엔드게임은 이 기본을 모두 엔드시켰다고 할 수 있다.
그래도 이 영화에 대해 변명을 좀 해주자면,
1. 그간 전작에 의해 뿌려진 모든 떡밥을 회수해야 했고,
2. 인피니티 워에서 반띵당한 모든 캐릭터들을 다시 부활시켜야 한다는 엄청난 부담,
3. 이미 은퇴가 예정된 어벤저스 멤버 - 토니 스타크, 스티븐 로저스, 그리고 블랙 위도우 - 를 어떻게 마무리 지을 것인가.
의 각각으로 영화 한 편은 뽑을 수 있는 내용을 한 편에 버무리려니 스토리의 완결성과 감정선의 흐름은 도저히 생각할 여유가 없었을 듯도 하다.
10년간의 대단원을 내리는 마당이니 그간 나온 모든 캐릭터를 총동원시키다 보니 악당보다 더 화면에 꽉차게 나오는 엔딩신에선 감격의 눈물보다는 허탈한 웃음이 나올 지경이었다.
그래도 난 이렇게 생각한다. 이 정도의 배경과 스토리를 가지고 어떤 놈이 만들어도 이보다 더 좋게 만들 순 없을 것이다.
이 영화는 소외로 인한 고독, 슬픔, 절망으로 시작해서, 치유와 희망을 거쳐 삶의 기쁨을 노래한다.
금세기 최고의 영화 중 하나이다.
주제가인 제베타 스틸의 Calling you 역시 이 영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이다.
A desert road from Vegas to nowhere, Some place better than where you've been A coffee machine that needs some fixing In a little cafe just around the bend
사막을 따라 라스베가스에서 어딘가로,
당신이 있던 곳보다 나은 어딘가로,
고장 나버린 커피 기계가 있는
엉망이 되어버린 작은 카페.
I am calling you Can't you hear me? I am calling you
난 널 부르고 있어.
들리지 않니?
난 널 부르고 있어.
A hot dry wind blows right through me The baby's crying and I can't sleep, But we both know a change is coming, Coming closer sweet release
뜨겁고 거친 바람이 나를 관통하네.
아이가 울고 잠을 잘 수가 없어.
곧 변화가 다가올거야
달콤한 안식이 가까이 오고 있어.
I am calling you I know you hear me I am calling you Oh
난 널 부르고 있어.
난 네가 듣고 있는 걸 알아.
난 널 부르고 있어.
I am calling you I know you hear me I am calling you
A desert road from Vegas to nowhere, Some place better than where you've been A coffee…
트레일러에서는 이걸 로맨틱 코미디로 소개하고 있는데, 이 영화의 포텐셜에 대해서 너무 과소평가했던 듯 싶다.
이 영화를 통해 90년대 대처 정권시절의 영국 사회의 현실을 어느 정도 알 수 있으며, 영국인들이 대처에 대한 감정의 이유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마가렛 대처가 죽었을 때, 영국의 대다수 국민들이 길거리로 뛰어나가 The bitch is dead!-그 쌍년이 죽었다.- 라는 피켓을 들고 기뻐할 정도였으니 얼마나 싫어했는지를 알 수 있는데 그 이유가 이 영화에서 어느 정도 설명된다.)
영화의 초반 분위기는 가볍지만, 뒤로 갈 수록 노동문제와 노동자의 인권 그리고 인간다운 삶에 대한 여러가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야 될 정도로 영화의 내용이 무거워진다. 하지만 엔딩은 낙관적이고 무거운 주제에 비해 칙칙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