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링크) https://www.nobelprize.org/prizes/literature/2024/han/225027-nobel-lecture-korean/

 

 

빛과 실

지난해 1월, 이사를 위해 창고를 정리하다 낡은 구두 상자 하나가 나왔다. 열어보니 유년 시절에 쓴 일기장 여남은 권이 담겨 있었다. 표지에 ‘시집’이라는 단어가 연필로 적힌 얇은 중철 제본을 발견한 것은 그 포개어진 일기장들 사이에서였다. A5 크기의 갱지 다섯 장을 절반으로 접고 스테이플러로 중철한 조그만 책자. 제목 아래에는 삐뚤빼뚤한 선 두 개가 나란히 그려져 있었다. 왼쪽에서부터 올라가는 여섯 단의 계단 모양 선 하나와, 오른쪽으로 내려가는 일곱 단의 계단 같은 선 하나. 그건 일종의 표지화였을까? 아니면 그저 낙서였을 뿐일까? 책자의 뒤쪽 표지에는 1979라는 연도와 내 이름이, 내지에는 모두 여덟 편의 시들이 표지 제목과 같은 연필 필적으로 또박또박 적혀 있었다. 페이지의 하단마다에는 각기 다른 날짜들이 시간순으로 기입되어 있었다. 여덟 살 아이답게 천진하고 서툰 문장들 사이에서, 4월의 날짜가 적힌 시 한 편이 눈에 들어왔다. 다음의 두 행짜리 연들로 시작되는 시였다. 

사랑이란 어디 있을까?

팔딱팔딱 뛰는 나의 가슴 속에 있지.

사랑이란 무얼까?

우리의 가슴과 가슴 사이를 연결해주는 금실이지.

사십여 년의 시간을 단박에 건너, 그 책자를 만들던 오후의 기억이 떠오른 건 그 순간이었다. 볼펜 깍지를 끼운 몽당연필과 지우개 가루, 아버지의 방에서 몰래 가져온 커다란 철제 스테이플러. 곧 서울로 이사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된 뒤, 그동안 자투리 종이들과 공책들과 문제집의 여백, 일기장 여기저기에 끄적여놓았던 시들을 추려 모아두고 싶었던 마음도 이어 생각났다. 그 ‘시집’을 다 만들고 나자 어째서인지 누구에게도 보여주고 싶지 않아졌던 마음도.

일기장들과 그 책자를 원래대로 구두 상자 안에 포개어 넣고 뚜껑을 덮기 전, 이 시가 적힌 면을 휴대폰으로 찍어두었다. 그 여덟 살 아이가 사용한 단어 몇 개가 지금의 나와 연결되어 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뛰는 가슴 속 내 심장. 우리의 가슴과 가슴 사이. 그걸 잇는 금(金)실- 빛을 내는 실. 

*

그후 14년이 흘러 처음으로 시를, 그 이듬해에 단편소설을 발표하며 나는 ‘쓰는 사람’이 되었다. 다시 5년이 더 흐른 뒤에는 약 3년에 걸쳐 완성한 첫 장편소설을 발표했다. 시를 쓰는 일도, 단편소설을 쓰는 일도 좋아했지만-지금도 좋아한다- 장편소설을 쓰는 일에는 특별한 매혹이 있었다. 완성까지 아무리 짧아도 1년, 길게는 7년까지 걸리는 장편소설은 내 개인적 삶의 상당한 기간들과 맞바꿈된다. 바로 그 점이 나는 좋았다. 그렇게 맞바꿔도 좋다고 결심할 만큼 중요하고 절실한 질문들 속으로 들어가 머물 수 있다는 것이. 

하나의 장편소설을 쓸 때마다 나는 질문들을 견디며 그 안에 산다. 그 질문들의 끝에 다다를 때-대답을 찾아낼 때가 아니라- 그 소설을 완성하게 된다. 그 소설을 시작하던 시점과 같은 사람일 수 없는, 그 소설을 쓰는 과정에서 변형된 나는 그 상태에서 다시 출발한다. 다음의 질문들이 사슬처럼, 또는 도미노처럼 포개어지고 이어지며 새로운 소설을 시작하게 된다. 

세번째 장편소설인 <채식주의자>를 쓰던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나는 그렇게 몇 개의 고통스러운 질문들 안에서 머물고 있었다. 한 인간이 완전하게 결백한 존재가 되는 것은 가능한가? 우리는 얼마나 깊게 폭력을 거부할 수 있는가? 그걸 위해 더이상 인간이라는 종에 속하기를 거부하는 이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폭력을 거부하기 위해 육식을 거부하고, 종내에는 스스로 식물이 되었다고 믿으며 물 외의 어떤 것도 먹으려 하지 않는 여주인공 영혜는 자신을 구원하기 위해 매 순간 죽음에 가까워지는 아이러니 안에 있다. 사실상 두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영혜와 인혜 자매는 소리 없이 비명을 지르며, 악몽과 부서짐의 순간들을 통과해 마침내 함께 있다. 이 소설의 세계 속에서 영혜가 끝까지 살아 있기를 바랐으므로 마지막 장면은 앰뷸런스 안이다. 타오르는 초록의 불꽃 같은 나무들 사이로 구급차는 달리고, 깨어 있는 언니는 뚫어지게 창밖을 쏘아본다. 대답을 기다리듯, 무엇인가에 항의하듯. 이 소설 전체가 그렇게 질문의 상태에 놓여 있다. 응시하고 저항하며. 대답을 기다리며.

그 다음의 소설 <바람이 분다, 가라>는 이 질문들에서 더 나아간다. 폭력을 거부하기 위해 삶과 세계를 거부할 수는 없다. 우리는 결국 식물이 될 수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 정체와 이탤릭체의 문장들이 충돌하며 흔들리는 미스터리 형식의 이 소설에서, 오랫동안 죽음의 그림자와 싸워왔던 여주인공은 친구의 돌연한 죽음이 자살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분투한다. 마지막 장면에서 죽음과 폭력으로부터 온힘을 다해 배로 기어나오는 그녀의 모습을 쓰며 나는 질문하고 있었다. 마침내 우리는 살아남아야 하지 않는가? 생명으로 진실을 증거해야 하는 것 아닌가?

다섯번째 장편소설인 <희랍어 시간>은 그 질문에서 다시 더 나아간다. 우리가 정말로 이 세계에서 살아나가야 한다면, 어떤 지점에서 그것이 가능한가? 말을 잃은 여자와 서서히 시력을 잃어가는 남자는 각자의 침묵과 어둠 속에서 고독하게 나아가다가 서로를 발견한다. 이 소설을 쓰는 동안 나는 촉각적 순간들에 집중하고 싶었다. 침묵과 어둠 속에서, 손톱을 바싹 깎은 여자의 손이 남자의 손바닥에 몇 개의 단어를 쓰는 장면을 향해 이 소설은 느린 속력으로 전진한다. 영원처럼 부풀어오르는 순간의 빛 속에서 두 사람은 서로에게 자신의 연한 부분을 보여준다. 이 소설을 쓰며 나는 묻고 싶었다. 인간의 가장 연한 부분을 들여다보는 것- 그 부인할 수 없는 온기를 어루만지는 것- 그것으로 우리는 마침내 살아갈 수 있는 것 아닐까, 이 덧없고 폭력적인 세계 가운데에서? 

그 질문의 끝에서 나는 다음의 소설을 상상했다. <희랍어 시간>을 출간한 후 찾아온 2012년의 봄이었다. 빛과 따스함의 방향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소설을 쓰겠다고 나는 생각했다. 마침내 삶을, 세계를 끌어안는 그 소설을 눈부시게 투명한 감각들로 충전하겠다고. 제목을 짓고 앞의 20페이지 정도까지 쓰다 멈춘 것은, 그 소설을 쓸 수 없게 하는 무엇인가가 내 안에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

그 시점까지 나는 광주에 대해 쓰겠다는 생각을 단 한번도 해보지 않았다. 

1980년 1월 가족과 함께 광주를 떠난 뒤 4개월이 채 지나지 않아 그곳에서 학살이 벌어졌을 때 나는 아홉 살이었다. 이후 몇 해가 흘러 서가에 거꾸로 꽂힌 ‘광주 사진첩’을 우연히 발견해 어른들 몰래 읽었을 때는 열두 살이었다. 쿠데타를 일으킨 신군부에 저항하다 곤봉과 총검, 총격에 살해된 시민들과 학생들의 사진들이 실려 있는, 당시 정권의 철저한 언론 통제로 인해 왜곡된 진실을 증거하기 위해 유족들과 생존자들이 비밀리에 제작해 유통한 책이었다. 어렸던 나는 그 사진들의 정치적 의미를 정확히 이해할 수 없었으므로, 그 훼손된 얼굴들은 오직 인간에 대한 근원적인 의문으로 내 안에 새겨졌다. 인간은 인간에게 이런 행동을 하는가, 나는 생각했다. 동시에 다른 의문도 있었다. 같은 책에 실려 있는, 총상자들에게 피를 나눠주기 위해 대학병원 앞에서 끝없이 줄을 서 있는 사람들의 사진이었다. 인간은 인간에게 이런 행동을 하는가. 양립할 수 없어 보이는 두 질문이 충돌해 풀 수 없는 수수께끼가 되었다. 

그러니까 2012년 봄, ‘삶을 껴안는 눈부시게 밝은 소설’을 쓰려고 애쓰던 어느 날, 한번도 풀린 적 없는 그 의문들을 내 안에서 다시 만나게 된 것이었다. 오래 전에 이미 나는 인간에 대한 근원적 신뢰를 잃었다. 그런데 어떻게 세계를 껴안을 수 있겠는가? 그 불가능한 수수께끼를 대면하지 않으면 앞으로 갈 수 없다는 것을, 오직 글쓰기로만 그 의문들을 꿰뚫고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 순간이었다. 

그후 1년 가까이 새로 쓸 소설에 대한 스케치를 하며, 1980년 5월 광주가 하나의 겹으로 들어가는 소설을 상상했다. 그러다 망월동 묘지에 찾아간 것은 같은 해 12월, 눈이 몹시 내리고 난 다음날 오후였다. 어두워질 무렵 심장에 손을 얹고 얼어붙은 묘지를 걸어나오면서 생각했다. 광주가 하나의 겹이 되는 소설이 아니라, 정면으로 광주를 다루는 소설을 쓰겠다고. 9백여 명의 증언을 모은 책을 구해, 약 한 달에 걸쳐 매일 아홉 시간씩 읽어 완독했다. 이후 광주뿐 아니라 국가폭력의 다른 사례들을 다룬 자료들을, 장소와 시간대를 넓혀 인간들이 전 세계에 걸쳐, 긴 역사에 걸쳐 반복해온 학살들에 대한 책들을 읽었다. 

그렇게 자료 작업을 하던 시기에 내가 떠올리곤 했던 두 개의 질문이 있다. 이십대 중반에 일기장을 바꿀 때마다 맨 앞페이지에 적었던 문장들이다. 

현재가 과거를 도울 수 있는가?

산 자가 죽은 자를 구할 수 있는가?

자료를 읽을수록 이 질문들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는 듯했다. 인간성의 가장 어두운 부분들을 지속적으로 접하며, 오래 전에 금이 갔다고 생각했던 인간성에 대한 믿음이 마저 깨어지고 부서지는 경험을 했기 때문이다. 이 소설을 쓰는 일을 더이상 진척할 수 없겠다고 거의 체념했을 때 한 젊은 야학 교사의 일기를 읽었다. 1980년 오월 당시 광주에서 군인들이 잠시 물러간 뒤 열흘 동안 이루어졌던 시민자치의 절대공동체에 참여했으며, 군인들이 되돌아오기로 예고된 새벽까지 도청 옆 YWCA에 남아 있다 살해되었던, 수줍은 성격의 조용한 사람이었다는 박용준은 마지막 밤에 이렇게 썼다. “하느님, 왜 저에게는 양심이 있어 이렇게 저를 찌르고 아프게 하는 것입니까? 저는 살고 싶습니다.” 

그 문장들을 읽은 순간, 이 소설이 어느 쪽으로 가야 하는지 벼락처럼 알게 되었다. 두 개의 질문을 이렇게 거꾸로 뒤집어야 한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다.

과거가 현재를 도울 수 있는가?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할 수 있는가? 

이후 이 소설을 쓰는 동안, 실제로 과거가 현재를 돕고 있다고, 죽은 자들이 산 자를 구하고 있다고 느낀 순간들이 있었다. 이따금 그 묘지에 다시 찾아갔는데, 이상하게도 갈 때마다 날이 맑았다. 눈을 감으면 태양의 주황빛이 눈꺼풀 안쪽에 가득 찼다. 그것이 생명의 빛이라고 나는 느꼈다. 말할 수 없이 따스한 빛과 공기가 내 몸을 에워싸고 있다고. 

열두 살에 그 사진첩을 본 이후 품게 된 나의 의문들은 이런 것이었다. 인간은 어떻게 이토록 폭력적인가? 동시에 인간은 어떻게 그토록 압도적인 폭력의 반대편에 설 수 있는가? 우리가 인간이라는 종에 속한다는 사실은 대체 무엇을 의미하는가? 인간의 참혹과 존엄 사이에서, 두 벼랑 사이를 잇는 불가능한 허공의 길을 건너려면 죽은 자들의 도움이 필요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어린 동호가 어머니의 손을 힘껏 끌고 햇빛이 비치는 쪽으로 걸었던 것처럼.

당연하게도 나는 그 망자들에게, 유족들과 생존자들에게 일어난 어떤 일도 돌이킬 수 없었다. 할 수 있는 것은 내 몸의 감각과 감정과 생명을 빌려드리는 것뿐이었다. 소설의 처음과 끝에 촛불을 밝히고 싶었기에, 당시 시신을 수습하고 장례식을 치르는 곳이었던 상무관에서 첫 장면을 시작했다. 그곳에서 열다섯 살의 소년 동호가 시신들 위로 흰 천을 덮고 촛불을 밝힌다. 파르스름한 심장 같은 불꽃의 중심을 응시한다. 

이 소설의 한국어 제목은 <소년이 온다>이다. ‘온다’는 ‘오다’라는 동사의 현재형이다. 너라고, 혹은 당신이라고 2인칭으로 불리는 순간 희끄무레한 어둠 속에서 깨어난 소년이 혼의 걸음걸이로 현재를 향해 다가온다. 점점 더 가까이 걸어와 현재가 된다. 인간의 잔혹성과 존엄함이 극한의 형태로 동시에 존재했던 시공간을 광주라고 부를 때, 광주는 더이상 한 도시를 가리키는 고유명사가 아니라 보통명사가 된다는 것을 나는 이 책을 쓰는 동안 알게 되었다. 시간과 공간을 건너 계속해서 우리에게 되돌아오는 현재형이라는 것을. 바로 지금 이 순간에도. 

*

그렇게 <소년이 온다>를 완성해 마침내 출간한 2014년 봄, 나를 놀라게 한 것은 독자들이 이 소설을 읽으며 느꼈다고 고백해온 고통이었다. 내가 이 소설을 쓰는 과정에서 느낀 고통과, 그 책을 읽은 사람들이 느꼈다고 말하는 고통이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에 대해 나는 생각해야만 했다. 그 고통의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는 인간성을 믿고자 하기에, 그 믿음이 흔들릴 때 자신이 파괴되는 것을 느끼는 것일까? 우리는 인간을 사랑하고자 하기에, 그 사랑이 부서질 때 고통을 느끼는 것일까? 사랑에서 고통이 생겨나고, 어떤 고통은 사랑의 증거인 것일까? 

같은 해 유월에 꿈을 꾸었다. 성근 눈이 내리는 벌판을 걷는 꿈이었다. 벌판 가득 수천 수만 그루의 검은 통나무들이 심겨 있고, 하나하나의 나무 뒤쪽마다 무덤의 봉분들이 있었다. 어느 순간부터 운동화 아래에 물이 밟혀 뒤를 돌아보자, 지평선인 줄 알았던 벌판의 끝에서부터 바다가 밀려들어오고 있었다. 왜 이런 곳에다 이 무덤들을 썼을까, 나는 스스로에게 물었다. 아래쪽 무덤들의 뼈들은 모두 쓸려가버린 것 아닐까. 위쪽 무덤들의 뼈들이라도 옮겨야 하는 것 아닐까, 더 늦기 전에 지금. 하지만 어떻게 그게 가능할까? 나에게는 삽도 없는데. 벌써 발목까지 물이 차오르고 있는데. 꿈에서 깨어나 아직 어두운 창문을 보면서, 이 꿈이 무엇인가 중요한 것을 말하고 있다고 느꼈다. 꿈을 기록한 뒤에는 이것이 다음 소설의 시작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그것이 어떤 소설일지 아직 알지 못한 채 그 꿈에서 뻗어나갈 법한 몇 개의 이야기를 앞머리만 썼다 지우기를 반복하다가, 2017년 12월부터 2년여 동안 제주도에 월세방을 얻어 서울을 오가는 생활을 했다. 바람과 빛과 눈비가 매순간 강렬한 제주의 날씨를 느끼며 숲과 바닷가와 마을길을 걷는 동안 소설의 윤곽이 차츰 또렷해지는 것을 느꼈다. <소년이 온다>를 쓸 때와 비슷한 방식으로 학살 생존자들의 증언들을 읽고 자료를 공부하며, 언어로 치환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게 느껴지는 잔혹한 세부들을 응시하며 최대한 절제하여 써간 <작별하지 않는다>를 출간한 것은, 검은 나무들과 밀려오는 바다의 꿈을 꾼 아침으로부터 약 7년이 지났을 때였다. 

소설을 쓰는 동안 사용했던 몇 권의 공책들에 나는 이런 메모를 했다. 

생명은 살고자 한다. 생명은 따뜻하다.

죽는다는 건 차가워지는 것. 얼굴에 쌓인 눈이 녹지 않는 것.

죽인다는 것은 차갑게 만드는 것.

역사 속에서의 인간과 우주 속에서의 인간.

바람과 해류. 전세계를 잇는 물과 바람의 순환. 우리는 연결되어 있다. 연결되어 있다, 부디.

이 소설은 모두 3부로 이루어져 있다. 1부의 여정이 화자인 경하가 서울에서부터 제주 중산간에 있는 인선의 집까지 한 마리 새를 구하기 위해 폭설을 뚫고 가는 횡의 길이라면, 2부는 그녀와 인선이 함께 인간의 밤 아래로-1948년 겨울 제주도에서 벌어졌던 민간인 학살의 시간으로-, 심해 아래로 내려가는 수직의 길이다. 마지막 3부에서 두 사람이 그 바다 아래에서 촛불을 밝힌다. 

친구인 경하와 인선이 촛불을 넘겼다가 다시 건네받듯 함께 끌고 가는 소설이지만, 그들과 연결되어 있는 진짜 주인공은 인선의 어머니인 정심이다. 학살에서 살아남은 뒤, 사랑하는 사람의 뼈 한 조각이라도 찾아내 장례를 치르고자 싸워온 사람. 애도를 종결하지 않는 사람. 고통을 품고 망각에 맞서는 사람. 작별하지 않는 사람. 평생에 걸쳐 고통과 사랑이 같은 밀도와 온도로 끓고 있던 그녀의 삶을 들여다보며 나는 묻고 있었던 것 같다. 우리는 얼마나 사랑할 수 있는가? 어디까지가 우리의 한계인가? 얼마나 사랑해야 우리는 끝내 인간으로 남는 것인가?

*

<작별하지 않는다>를 출간한 뒤 3년이 흐른 지금, 아직 나는 다음의 소설을 완성하지 못하고 있다. 그 책을 완성한 다음에 쓸 다른 소설도 오래 전부터 나를 기다리고 있다. 태어난 지 두 시간 만에 세상을 떠난 언니에게 내 삶을 잠시 빌려주려 했던, 무엇으로도 결코 파괴될 수 없는 우리 안의 어떤 부분을 들여다보고 싶었던 <흰>과 형식적으로 연결되는 소설이다. 완성의 시점들을 예측하는 것은 언제나처럼 불가능하지만, 어쨌든 나는 느린 속도로나마 계속 쓸 것이다. 지금까지 쓴 책들을 뒤로 하고 앞으로 더 나아갈 것이다. 어느 사이 모퉁이를 돌아 더이상 과거의 책들이 보이지 않을 만큼, 삶이 허락하는 한 가장 멀리. 

내가 그렇게 멀리 가는 동안, 비록 내가 썼으나 독자적인 생명을 지니게 된 나의 책들도 자신들의 운명에 따라 여행을 할 것이다. 차창 밖으로 초록의 불꽃들이 타오르는 앰뷸런스 안에서 영원히 함께 있게 된 두 자매도. 어둠과 침묵 속에서 남자의 손바닥에 글씨를 쓰고 있는, 곧 언어를 되찾게 될 여자의 손가락도. 태어난 지 두 시간 만에 세상을 떠난 내 언니와, 끝까지 그 아기에게 ‘죽지 마, 죽지 마라 제발’이라고 말했던 내 젊은 어머니도. 내 감은 눈꺼풀들 속에 진한 오렌지빛으로 고이던, 말할 수 없이 따스한 빛으로 나를 에워싸던 그 혼들은 얼마나 멀리 가게 될까? 학살이 벌어진 모든 장소에서, 압도적인 폭력이 쓸고 지나간 모든 시간과 공간에서 밝혀지는, 작별하지 않기를 맹세하는 사람들의 촛불은 어디까지 여행하게 될까? 심지에서 심지로, 심장에서 심장으로 이어지는 금(金)실을 타고?

*

지난해 1월 낡은 구두 상자에서 찾아낸 중철 제본에서, 1979년 4월의 나는 두 개의 질문을 스스로에게 하고 있었다. 

사랑이란 어디 있을까?

사랑은 무얼까?

한편 <작별하지 않는다>를 출간한 2021년 가을까지, 나는 줄곧 다음의 두 질문이 나의 핵심이라고 생각해왔었다.

세계는 왜 이토록 폭력적이고 고통스러운가?

동시에 세계는 어떻게 이렇게 아름다운가?

이 두 질문 사이의 긴장과 내적 투쟁이 내 글쓰기를 밀고 온 동력이었다고 오랫동안 믿어왔다. 첫 장편소설부터 최근의 장편소설까지 내 질문들의 국면은 계속해서 변하며 앞으로 나아갔지만, 이 질문들만은 변하지 않은 일관된 것이었다고. 그러나 이삼 년 전부터 그 생각을 의심하게 되었다. 정말 나는 2014년 봄 <소년이 온다>를 출간하고 난 뒤에야 처음으로 사랑에 대해- 우리를 연결하는 고통에 대해- 질문했던 것일까? 첫 소설부터 최근의 소설까지, 어쩌면 내 모든 질문들의 가장 깊은 겹은 언제나 사랑을 향하고 있었던 것 아닐까? 그것이 내 삶의 가장 오래고 근원적인 배음이었던 것은 아닐까?

사랑은 ‘나의 심장’이라는 개인적인 장소에 위치한다고 1979년 4월의 아이는 썼다. (팔딱팔딱 뛰는 나의 가슴 속에 있지.) 그 사랑의 정체에 대해서는 이렇게 대답했다. (우리의 가슴과 가슴 사이를 연결해주는 금실이지.)

소설을 쓸 때 나는 신체를 사용한다.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부드러움과 온기와 차가움과 통증을 느끼는, 심장이 뛰고 갈증과 허기를 느끼고 걷고 달리고 바람과 눈비를 맞고 손을 맞잡는 모든 감각의 세부들을 사용한다. 필멸하는 존재로서 따뜻한 피가 흐르는 몸을 가진 내가 느끼는 그 생생한 감각들을 전류처럼 문장들에 불어넣으려 하고, 그 전류가 읽는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것을 느낄 때면 놀라고 감동한다. 언어가 우리를 잇는 실이라는 것을, 생명의 빛과 전류가 흐르는 그 실에 나의 질문들이 접속하고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는 순간에. 그 실에 연결되어주었고, 연결되어줄 모든 분들에게 마음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한ᄯᅢ는 만흔날을 당신 생각에
밤ᄭᅡ지 새운 일도 업지 안지만
지금도 ᄯᅢ마다는 당신 생각에
축업는 베개ᄭᅡ의 ᄭᅮᆷ은 잇지만

낫모를 ᄯᅡᆫ세상의 네길거리에
애달피 날 저무는 갓 스물이요
캄캄한 어둡은 밤들에 헤매도
당신은 니저바린 서름이외다

당신을 생각하면 지금이라도
비오는 모새 밧테오는 눈물의
축업는 베개ᄭᅡ의 ᄭᅮᆷ은 잇지만
당신은 니저바린 서름이외다

 

김소월, <조선문단 10호, 1925.7, pp.85>

 장횡거(張橫渠, 횡거 장재張載)의 정몽(正蒙)에 나오는 말.

군자달선달불선(君子達善達不線)

 

세상을 살아나가는 데 있어서 호인(好仁)보다, 오불인(惡不仁)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3분 30초경부터)

(박구용) 사실 이번에 (10.29 이태원) 참사를 처리하는 방식. 제가 보기에는 전문적인 칼잡이들 같아요. 정신의 칼잡이들. 칼잡이들이 있다. 그 칼잡이들은 영혼에다가 어떻게 칼을 댈 수 있는지를 아는 사람들이에요. 그래서 거기에 언뜻 보면 전혀 이해 안되는 몇 가지 것들이 있잖아요.

 영혼의 칼잡이라는 것은 무슨 말이냐하면요 정신분석학 혹은 뇌과학을 접목한 그런 기술자들이 있다는 생각이 들고, 또 다른 한쪽의 축이 있다. 그건 정반대의 심령술사같은 그룹이 있다. 그 교집합에 누가 있느냐가 나의 관심거리에요. 그 교집합을 파악해야 현재의 대한민국의 주요한 정치적, 정책적 결정을 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고 보거든요. 

 그런데 지금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가 2가지 교집합을 모르기 때문이에요.

(김어준) 과거에 국정원 심리전단과 같은 역할을 하는, 또 한쪽에서는 일반인의 논리로는 이해가 안가는 무속적 혹은 심령적 해석의 교집합.

(박구용) 그게 언뜻 보면 만나기 어려운 거잖아요. 그런데 그 만나기 어려운 것이 만났고 그 교집합에 있는 퍼스낼리티가 있다. 

(김어준) 그런 생각을 할 수 있는게, 예를 들어 위폐, 영정을 놓지 마라. 이런건 사실 심리전단 기법이에요. 연상되게 하지 마라. 그런데 리본 글씨 없는 쪽으로 달아라. 이건 아무도 이해 못하는 관점이거든요. 더군다나 이게 공문으로 내려왔어요.도대체 이 결정을 한 사람이 누굴까? 왜 이런 결정을 했을까? 수많은 정치인들에게 물어봐도 아무도 몰라. 일반인도 이해할 수가 없잖아요. 

https://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67778

 

"글씨 없는 검은 리본 착용해 주세요" 논란 커지자, 결국… - 인천일보

이태원 참사 희생자를 향한 온 국민의 추모로 나라가 슬픔에 잠긴 가운데 전국 공무원을 대상으로 행정당국이 '근조'나 '추모' 글자가 없는 검은 리본을 달도록 공문을 내린 것...

www.incheonilbo.com

 이제부턴 제 가설입니다. 글씨가 보이지 않게 달라고 했거든요. 글씨가 뭐냐? 근조(謹弔)란 말이에요. 이 상황을 국가적인 근조의 상황으로 보지 않는 사람이 있는거에요. 천공이 그랬잖아요. 참사가 기회라고. 그렇게 펼치는 논리의 전개는 이해도 안가고 동의도 안가지만, 국가적으로 슬퍼할 상황이 아니라고 본 거에요. 

 지금은 국가적으로 슬퍼할 상황이 아니지라고 누가 본 것이고 그 누군가가 정부차원의 방침을 지시할 위치에 있는 것이다.

(박구용) 그러니까 그런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만나기가 어려운 데 만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데. 한 사람이든 세 사람이든 있다. 이너서클이 있다. 그 교집합에 핵심이 있겠죠. 그렇지 않고는 설명이 불가능하다.

 리본을 꺼꾸로 달아라 하는 것은 한쪽에서 지시가 내려왔나보다라고 할 수 있는데, 거기서 더 나아간게 캄보디아에서 병원에 간 사진이에요. 여기까지 갈 수가 없거든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22177#home

 

서울아산병원 의료진, 김건희 만난 캄보디아 소년 직접 데려온다 | 중앙일보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달 12일 캄보디아에서 만났던 14세 소년이 이번 주중 입국해 수술을 위한 각종 검사를 받는다. 1일 대통령실과 의료계에 따르면 선천성 심장질환을 앓는

www.joongang.co.kr

 

 

(김어준) 참사 희생자도 있지만 여전히 병원에 있는 사람들도 많아요. 사경을 헤매는 사람들도 있단 말이에요. 근데 거기 가서 병원에 간 거 아니에요.

(박구용) 그렇지. 그러니까 갈 수가 없는거란 말이에요. 그리고 엉뚱한 사람을 안고. 정말로 영원이 아무것도 없이 벌거벗은 거에요. 그렇지 않고는 불가능해요. 결합할 수 없는 2개의 집단이 결합해 있다. 

(김어준) 한쪽에서 나온 메시지는 이런거죠. (이태원 참사 희생자의) 이름을 거명하는 것은 2차 가해다. 이건 법의 관점이죠. 명단을 공개하면 불법이다. 그런데 리본을 뒤집어라. 이런건 그쪽에서 안나오지.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50489

 

한동훈, 희생자 명단 공개 직격 “유족에 대한 2차 좌표찍기” - 시사저널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온라인 매체 ‘민들레’와 ‘더탐사’가 이태원 참사 희생자 155명의 명단을 공개한 것에 대해 “사망한 피해자들을 거명한다는 것은 결국 유족에 대한 ‘2차 좌표 찍기’

www.sisajournal.com

 

(박구용) 만약에 이름을 부르지 마라, 영정 걸지 마라 이쪽 라인만 있다면 병원은 안갔어요. 거꾸로도 마찬가지고. 이게 같이 결합될 수가 없는거라니까. 그런데 그게 된다고 믿는 사람이 있는 거거든요. 예를 들어서 사이언톨로지(Scientology)라고 알아요?

 독일의 바이에른주 같은 경우 공무원이 되려면 세 군데에 서명을 해야 해. 첫번째 공산당에 가입하지 않겠다. 두번째 사이언톨로지에 가입하지 않겠다. 세번째 문 섹트(통일교)에 가입하지 않겠다.

 결합이 안될 것 같은 것이 결합되는 대표적인 종교집단이 있었어요. 세계적으로 알려진게 사이언톨로지하고 문 섹트 거거든요. 일본이 그래서 지금 망했잖아요. 일본이 지금 이렇게까지 극우로 갈 일이 아니거든요. 아닌데 과학적인거하고 심령적인게 묘하게 결합된 방식이 권력을 장악하면 나라가 위태로워요. 

 아베 정권의 뿌리로 가보면 그게 있어요. 일본의 전통적인 영적인 세계를 추구하는 게 통일교랑 결합되거든요. 근데 통일교가 과학주의를 신봉해요. 그러니까 두 교집합이 나라를 움직이는 건 위험하다. 

 내가 보기엔 우리나라에 현재 영혼의 사무라이들이 있어요. 정치공학적인 단계를 뛰어넘어 있어요. 정치공학적으로 집단의 이익을 위해서 어느 정도는 이해할 수 있어요. 그런데 그걸 넘어서면 사무라이지. 왜? 자기들도 이걸 왜 하는지 모를 정도로 시키는 쪽이 따로 있다는 거거든. 자기들이 이해할 수 없는 칼질을 하고 있다는 것. 그래서 사무라이라고 부르는 거에요. 

 

 

The mystery of life isn't a problem to solve, but a reality to experience.

A proecess that cannot be understood by stopping it.

We must move with the flow of the process.

We must join it.

We must flow with it.

 

삶이란 풀어야 할 문제가 아니고, 부딪혀야 할 현실이다.

과정은 막아서는 것으로는 이해할 수 없다.

과정의 흐름과 함께 움직여야 한다.

함께 해야 하고, 그것과 함께 흘러가야 한다.

 

-Dune, Wisdoms of Fremen -

커뮤 게시판에서 본 글. 우리나라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보면 무슨 얘기인지 알 수 있다.

정말 큰일이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8452073?type=recommend

 

회사 신입 영업사원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 클리앙

사실 뽑은지 1년 반 정도 돼서 신입사원이라 부르기도 좀 그렇긴한데요, 진짜 이 놈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이 놈 뽑을 때 제가 면접관으로 참여하긴 했거든요. 암만 봐도 자격 미달이라 뽑으면

www.clien.net

 

사실 뽑은지 1년 반 정도 돼서 신입사원이라 부르기도 좀 그렇긴한데요, 진짜 이 놈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이 놈 뽑을 때 제가 면접관으로 참여하긴 했거든요. 암만 봐도 자격 미달이라 뽑으면 회사 망할것 같아서 절대로 뽑으면 안된다고 했는데 다른 면접관들이 끝까지 밀어부쳐서 진짜 근소한 차이로 합격된 그런 애거든요.

하는 일마다 펑크내고 사고치고 맨날 술 쳐먹는다고 그러는지 출근 근태도 안지키는건 기본입니다.

회사 내부적으로도 할 일이 많아 힘들어 죽겠는데 맨날 영업하러 간다면서 죽어라 싸돌아 댕깁니다. 

이번에 중요한 프로젝트 따 낼거라고 호언장담하면서 엄청나게 싸돌아 다녔거든요. 근데 출장비만 탕진하고 결국은 프로젝트 수주 실패.. 휴... 뭐 그 프로젝트가 우리회사에 꼭 필요한 그런건 아니었는데 그래도 지가 하겠다고 하니 하라고 시켰는데 결과까지 이러니 참담하네요.

더 가관인건 출장 갈 때마다 도대체 뭘 하는지 몰라서 사진을 좀 찍어서 출장 보고를 하라고 했거든요. 근데 찍은 사진들이 죄다 지 마누라 사진입니다.. 아니 일하라고 보내놨더니 뭔 마누라랑 놀러간건지..

우리 회사 근처에 J사 라고 경쟁사가 있는데 이 놈이 우리회사 편은 안들고 맨날 경쟁사 편드는 일만 벌입니다. 진심으로 J사에서 보낸 스파이가 아닐까 싶은데..

한 10년 전쯤에 아빠 빽 믿고 들어왔던 최악의 사원이 있었는데(결국 일을 잘 못해서 중간에 짤랐습니다) 걔를 능가하는 애는 없을거라 생각했는데.. 진짜 훨씬 심한 놈입니다..

짤린 걔 다음에 들어온 사원은 진짜 빠릿빠릿하게 일 잘했거든요. 인수인계 기간 없이도 알아서 착착 잘해서 참 든든했었는데.. 계약기간만 더 길었어도 일 더 시키고 싶었는데 그놈의 계약기간 규칙 때문에 어쩔수 없이 새로 뽑게 됐는데.. 어쩌다 이런 개폐급 쓰레기가 회사에 들어오게 된건지.. 

회사의 미래가 심히 걱정됩니다 ㅠㅠ 이런 놈 진짜 짜르게 할 수 없을까요. 

http://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9 

 

[유시민 칼럼] 이인규의 ‘글로리’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영어 ‘글로리(glory)’는 맥락에 따라 영예(榮譽), 부귀(富貴), 광휘(光輝) 등 여러 뜻으로 쓴다. 넷플릭스 드라마 에서는 무엇일까? 나는 ‘자랑’ 또는 ‘존엄’으로 해석한다. 돈 많고 키 크고

www.mindlenews.com

 

영어 ‘글로리(glory)’는 맥락에 따라 영예(榮譽), 부귀(富貴), 광휘(光輝) 등 여러 뜻으로 쓴다. 넷플릭스 드라마 <더 글로리>에서는 무엇일까? 나는 ‘자랑’ 또는 ‘존엄’으로 해석한다. 돈 많고 키 크고 잘 생겼고 ‘나이스’한 하도영은 박연진의 자랑이다. 문동은은 모든 가해자가 가졌거나 가지려 한 글로리를 파괴함으로써 존엄을 확인했다. 자신의 글로리를, 박연진은 남한테 내보인 반면 문동은은 혼자 간직했다. 삶의 무게추를 박연진은 타인의 시선에 두었고 문동은은 자신의 내면에 두었다. 그런 점에서 하도영은 문동은과 같은 유형이다. 스스로 생각하기에 ‘나이스’한 행동을 하는 것이 하도영의 글로리다. 그래서 충실하지 않은 아내와 생물학적으로는 남의 딸인 예솔을 비현실적일 정도로 ‘나이스’하게 대한다. 나는 등장인물이 저마다 추구하는 글로리가 무엇인지 생각하면서 그 드라마를 보았다.

무협지 같은 회고록

이인규 씨가 회고록을 냈다. 제목은 ‘나는 대한민국 검사였다’이고, 부제는 ‘누가 노무현을 죽였나’이다. 출판사 조갑제닷컴의 발행인 조갑제 씨는 젊을 때 글 잘 쓰는 기자로 이름을 날렸고 나이 들어 극우 논객으로 변신한 인물이다. 이인규 씨는 책 후기에 조 씨가 원고를 윤문(潤文)했다는 사실을 밝혔다. 어떤 내용을 담은 어떤 문장이 조씨의 작품인지, 알 만한 사람이라면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전직 검사의 흔한 회고록은 아니다. 서문부터 부록까지 529쪽 가운데, 노무현 대통령과 무관한 것은 27쪽부터 90쪽까지가 전부다. 부록 <노무현 전 대통령 수사 개요>는 용어와 문장과 내용 모두 검찰 수사기록 요약 보고서라고 할 만하다. 개인의 기억력과 메모에 의지해 쓸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선다. 중수부장 직을 사임할 때 수사기록 사본을 가지고 나오지 않았는지, 혹시 검찰 관계자가 보관하고 있는 수사기록을 제공한 게 아닌지 의심스럽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9년 4월 30일 검찰조사를 받기 위해 김해 봉하마을 사저를 떠나는 모습. 연합뉴스
본문 장르는 ‘무협지’에 가깝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검사의 임무는 법을 위반한 사람을 찾아내고 법정에서 범죄행위를 증거로 입증함으로써 법이 정한 벌을 받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무협지의 주인공은 ‘나쁜 놈 중에서도 힘센 나쁜 놈을 처단하려고 검사가 되었다’고 한다.(26쪽) 그는 1985년 서울지검에서 검사의 첫걸음을 뗐다. 그때는 전두환이 대통령이었다. 힘세고 나쁘기로는 한국현대사에서 단연 으뜸인 사람이다. 그렇지만 이인규 씨가 전두환과 그 패거리를 처단하려고 애쓴 흔적은 없다. ‘힘센 나쁜 놈’이 누군지에 대해서 이인규 씨는 그때도 지금도 헌법이나 상식과 크게 다른 관념을 지니고 있다.

어쨌든 경동고와 서울법대를 나온 그는 명문고 인맥이 판치던 검찰조직에서 학연‧지연‧혈연으로 얽힌 이들의 청탁을 거절하는 청렴성과 원칙에 따라 업무를 처리하는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특수부 에이스가 되었고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 자리까지 올라갔다. 회고록에서 SK 최태원 회장 구속(2002년)부터 대선자금 수사(2003년)를 거쳐 노무현 전 대통령 수사(2009년)까지 ‘힘센 나쁜 놈’을 처단한 자신의 업적을 깨알같이 자랑했다. 정홍원‧우병우‧홍만표‧한동훈‧박영수 등 함께 활약한 ‘훌륭한 검사’는 실명을 밝혔다. 검찰을 완전 정의로우며 오류라곤 없는 조직으로 묘사했다. 자신을 돋보이게 만드는 데 필요한 때만 검찰의 작은 잘못을 슬쩍 비추었고 관련 검사 이름은 익명 처리했다. 처음부터 끝까지 자랑뿐인 ‘나 때는’ 회고록이다. 그가 검사로 재직한 전두환‧노태우 시대에 무고한 시민을 수도 없이 구속하고 기소한 검찰의 조직범죄와 성폭력‧뇌물수수‧증거조작 등 검사의 범법행위에 대해서는 어떤 반성도 성찰도 없다.

검사의 글로리

회고록 제목은 이인규 씨의 글로리가 무엇인지 보여준다. ‘대한민국 검사’, 그리고 표지의 저자 이름 뒤에 적은 ‘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이 그의 글로리다. 24년 6개월 동안 검사로 일한 이인규 씨는 노무현 대통령이 목숨을 끊은 일로 2009년 7월 사직했다. 무려 14년 세월이 흘렀다. 그런데도 여전히 ‘검사’라는 지위로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한다. ‘중수부장’이라는 직함으로 자부심을 드러낸다. ‘법률가’라든가 ‘변호사’ 같은 것은 이인규의 글로리가 될 수 없다. ‘검사’나 ‘중수부장’은 내면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언어가 아니다. 타인에게 자랑하고 과시하는 데 적합한 표식이다. 인간 이인규는 그런 점에서 문동은이나 하도영이 아니라 박연진과 같은 과에 속한다. 내면의 가치가 아니라 타인의 시선을 끄는 것을 글로리로 여긴다.

읽을 만한 가치가 있는 회고록은 아니었으나 윤석열 대통령과 검사정권의 행태를 이해하는 데는 유용했다. 그들은 1980년 전두환의 신군부와 비슷한 확신을 지니고 유사한 감정을 느끼면서 권력을 휘두르는 중이다. “기업인과 정치인을 비롯해 사회의 힘센 자들은 모두 잠재적인 범죄자다. 시장권력과 정치권력으로 국민을 약탈해 사리사욕을 채운다. 이것을 바로잡아 국민을 보호할 수 있는 세력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능하고 청렴한 검찰조직과 검찰에서 능력을 기른 전직 검사뿐이다. 우리는 사심 없는 엘리트로서 ‘힘센 나쁜 놈’들이 장악하고 있던 대한민국을 바로 세우고 있다.”

<한겨레21>이 최근 인용 보도한 참여연대와 법무부의 자료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는 검찰왕국 건설을 향해 전진하고 있다. 법무부장관을 포함해 검사 출신 국무위원이 4명이고 국무총리 비서실장부터 국민연금기금 운용위원회 상근 전문위원까지 검사 출신 차관급 공직자는 9명이다. 인사비서관에서 국제법무비서관까지 대통령실에 근무하는 검사 출신 비서관은 7명이다. 외교부와 국제기구 등 법무부 이외 기관에 파견나간 현직 검사가 50명이 넘으며, 검사 아닌 검찰공무원도 10명이나 파견 근무 중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통령 몫 대법관과 헌법재판관 후보로 주로 전직 검사를 추천하고, 김기현 체제를 통해 영남을 비롯한 국힘당 강세 선거구에 검사 출신 국회의원 후보를 밀어 넣을 것이다. 윤석열 정부는 돈과 정보와 권력이 있는 자리에 이름과 얼굴은 다르지만 생각과 감정은 이인규 씨와 똑같은 사람을 찾아 임명하고 있다. 이인규 씨도 조만간 한자리 받을지도 모르겠다.

노무현의 글로리

회고록 부제에 이인규 씨는 이런 주장을 담았다. ‘나는 노무현을 죽이지 않았다.’ 그의 심정을 이해한다. 글로리를 되찾으려면 그렇게 말해야 한다. “나는 노무현을 죽인 정치검사가 아니다. 평생 힘센 나쁜 놈을 처단한 대한민국 검사다. 노무현은 힘센 나쁜 놈이었다. 대통령직에 있으면서 박연차에게 뇌물을 받았다. 그가 자살한 것은 변호인 문재인의 무능과, 죽으라고 몰아세운 <한겨레>와 <경향신문> 등 진보언론 때문이다. SBS의 ‘논두렁시계’ 보도는 검찰이 아니라 국정원이 한 짓이다.”

그의 주장 가운데 그나마 다툴 가치가 있는 사실에 대해서는 노무현재단의 입장문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나머지는 사실 공방을 할 가치도 없다. 예컨대 박연차와 면담하면서 노 대통령이 했다고 그가 주장하는 말들은 지어낸 것이다. 자정 가까운 시간에 이루어진 짧은 면담은 영상녹화실에서 이루어진 게 아니었다. 자신과 문재인 대통령의 증언 중에 어느 것이 사실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것을 이인규 씨는 누구보다 잘 안다.

적어도 내게는, 이인규 씨의 노력이 쓸데없었다. 나는 그가 노무현을 죽였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는 그저 노무현의 얼굴에 침을 뱉었을 뿐이며 이명박 정권의 망나니 노릇을 검사의 일로 착각했을 따름이다. 그가 본 ‘힘센 나쁜 놈’은 그런 일로 목숨을 끊지 않았다. 그는 노무현 대통령이 수모를 견디며 비굴하게 살아가리라 생각했을 것이다. 검사 이인규는 노무현을 죽이려 하지 않았다. 살인의 고의가 없었다. ‘미필적 고의’가 있었다고 할 수도 없다. ‘이러면 죽을지도 몰라.’ 그런 생각조차 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박연진이 문동은을 이해하지 못한 것처럼, 검사 이인규는 인간 노무현을 이해하지 못했다. 어찌 ‘미필적 고의’를 품었겠는가.

나는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를 ‘의도하지 않았던 오류에 대해 죽음으로 책임진 행위’로 받아들인다. 정치는 때로 짐승이 되는 수모를 감수하면서 야수의 탐욕과 싸워 성인의 고귀함을 이루는 사업이다. 그것이 ‘노무현의 글로리’였다. 그는 수모를 견디지 못해 목숨을 끊는 사람이 아니다. 성인의 고귀함을 이루기 위해 야수의 탐욕과 싸워나갈 벗들에게 짐이 아니라 힘이 되려고 그런 방식으로 삶을 마감한 것이다. ‘나는 이렇게 나의 글로리를 지키겠다. 슬퍼하지도 말고 누구를 원망하지도 말라.’ 대통령의 마지막 글을 나는 그렇게 읽었다.

이인규 씨에게 말하고 싶다. “맞습니다. 그대는 대한민국 검사였습니다. 그 사실을 그대만의 글로리로 간직하십시오. 당당히 얼굴을 들고 거리를 활보하십시오, 그러나 굳이 타인의 동의를 구하지는 마십시오. 노무현의 글로리를 알아보았고 그의 죽음을 이해하는 사람은 그대의 얼굴과 이름을 영원히 기억할 것입니다. 노무현의 죽음을 해석하려고도 하지 마십시오. 다시 태어나지 않는 한, 그대는 노무현의 글로리를 이해하지 못할 겁니다.”

출처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http://www.mindlenews.com)

 

왜일까요? 대화 대신 곤봉을 휘둘러도 언어는 항상 그 힘을 가지고, 의미를 전달하여,
들으려 하는 자에게 명확한 진실을 알립니다. 그 진실이란 이 나라가 단단히 잘못됐단 겁니다.

잔악함, 부정, 편협함, 탄압이 만연하고, 한때는 생각한대로 비판하고, 본대로 말할 자유가 있었지만
이제는 검열과 감시 속에서 순응이 복종이 강요됩니다.

어쩌다 이렇게 됐죠? 누구 잘못입니까?

물론, 가장 큰 책임을 가진자들은 대가를 치루게 될겁니다.

그러나 진실을 말하자면, 당신이 죄인을 찾는다면 단지 거울 속을 들여다보면 됩니다.

압니다 당신이 왜 그랬는지. 두려웠던 거죠.
누군들 아니겠습니까? 전쟁, 테러, 질병.
무수히 많은 문제들이 조작되어져서 여러분의 이성을 타락하게 하고 상식을 앗아갔습니다.

두려움에 굴복당한 당신들은 서틀러 의장에게 기댔습니다.
그는 질서와 평화를 약속하며, 침묵과 절대복종을 요구했지요.

지난밤, 난 이 침묵을 깨려했습니다. 지난밤 나는 법원을 파괴해 이 나라에 잊혀진 가치를 일깨웠죠.

400여 년 전 한 위대한 시민이 11월 5일을 우리 뇌리에 영원히 각인시키고자 했습니다.
그는 세상 사람들에게 공평함, 정의, 자유가 단순한 단어 이상이라는 것을 일깨워주려 했습니다.

공평함, 정의, 자유는 우리가 무언가에 대해 느끼는 감정과 의견의 문제라는 것을.

눈을 가리고 살았고 이 정부의 범죄를 알지 못한다면 11월 5일을 아무렇지 않게 지나가십시오.

하지만 내가 보고 있는 것을 당신도 보고, 내가 느끼는 것을 당신도 느끼고, 내가 원하는 것을 당신도 원한다면
내 옆에 서주십시오. 오늘밤부터 1년 후 의사당 앞에서.

그리고 함께 11월 5일을 절대로 영원히 잊지 못하게 해줍시다.

 

Why? Because while the truncheon may be used in lieu of conversation,
Words will always retain their power, words offer the means for meaning
and, for those who will listen, the enunciation of truth and the truth is there
is something terribly wrong with this country, isn't there?

Cruelty and injustice, intolerance and oppression.
And where once you had the freedom to object for think and speak as you saw fit.
You now have censors and surveillance coercing your conformity and soliciting submission

How did this happen? Who's to blame?

Certainly there are those who are more responsible than others and they will be held accountable.

But again, truth be told, if you're looking for the guilty you need only look into a mirror.

I know why you did it.
I know you were afraid.
Who wouldn't be? War, terror, disease.
There were a myriad of problems which conspired for corrupt your reason and rob of your common sense.

Fear got the best of you and in your panic, you turned to the now high chancellor Adam sutler.
He promised you order, he promised you peace and all he demanded in return was your silent, obedient consent.

Last night, I sought to end that silence.
Last night, I destroyed the old Bailey for remind this country of what it has forgotten.

More that 400 years ago, a great citizen wished to imbed the 5th of November forever in our memory.
His hope was to remind the world that fairness, justice and freedom are mor than words.

They are perspectives. 

So if you've seen nothing if the crimes of this government remain unknown to you
then I would suggest that you allow the 5th of November to pass unmarked

But if you see what I see, if you feel as I feel, and if you would seek as I seek
then I ask you to stand beside me, one year from tonight outside the gates of parliament

And together, we shall give them a 5th of November that shall never, ever be forgot

 

 

 

 

출처 :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6922956?c=true#132257919 

 

코로나19 mRNA백신의 심근염 발생과 치료 결과 : 클리앙

백신 접종을 거부하시는 분들 중에 상당수가 심근염이 생겨서 죽는다는 공포심인 것 같습니다. 여성의 경우는 유산이나 생리 불순이 많은 것 같구요. 이미 여러 차례 mRNA백신이 심근염을 발생시

www.clien.net

 

자세한 내용은 위의 링크를 들어가면 볼 수 있다. 전문적인 내용까지 보고 싶은 사람은 참고.

 

요약)

1. mRNA백신 접종이후 심근염이 발생한 케이스는 4.6명/100만 접종이었다. 코로나19 감염시 심근염 발생은 450명/100만명 확진자였고, 심근염의 자연 발생 수는 100~400명/100만명이다. (즉, 백신 접종 후 심근염이 발생하는 빈도는 코로나19 감염이나 자연 발생 심근염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숫자입니다)

2. 주로 젊은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했으며, 백신 접종 후 2일 이내에 주로 발생했다.

3. 주요 증상은 흉통이었고, 임상적으로 혈중 트로포닌 상승이 나타난다. 치료법은 주로 소염진통제였다.

4. 발생한 심근염으로 인해 심장 이식을 하거나, 에크모를 사용한 사람은 없었으며, 사망자도 없었다.

 

핵심)

코로나19 백신을 맞고 심근염이 발생한 케이스는 4.6/100만 = 4.6ppm, 그리고 이로 인해 죽은 경우도 없다.

코로나19에 감염되었을 경우 심근염 생 케이스는 450/100만 = 450ppm

심근염의 자연발생건수는 100~400/100만 = 100~400ppm

심근염 걱정때문에 코로나 백신 접종을 거부할 과학적 근거는 없다.

(전기밥솥 쇼핑 한 이야기를 하며)

(미쿠리) 싼 물건은 엄청 싸더라구요. 너무 싼거 아닌가 싶을 정도로.

(카자미) 지금은 해외에서 싸게 만들 수 있으니까요.

(미쿠리) 그렇죠. 고용이 글로벌화되었다는 건, 국내의 일자리가 없어진다는 거죠. 그걸 생각하면 슬퍼져요.

(카자미) (국내에서)물건을 싸게 팔기 위해, 일자리를 해외에 파는 것 같은 거죠.

 

(집에 돌아와서 밥을 먹으며)

(미쿠리) 고용의 글로벌화로 국내의 산업이 쇠퇴하게 된다. 그러면 어찌하면 좋을까요라고 물어보니,

쉽게 대답이 나오지 않더라구요.

차라리 쇄국을 하면 어떨까요? 라며 농담을 주고 받았어요.

(밥상에서의 대화치고는 상당히 수준 높다고 할까?)

 

---------------------

신자유주의에 따른 세계화의 바람이 그 정점에 이른 때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시절이다. 그 이후로 국내 제조업의 기반이 얼마나 중요한 사회적 안전망이었나를 깨달은 미국, 일본, 유럽이 중국, 인도, 동남아시아의 싼 인건비를 보고 진출한 해외공장을 다시 국내로 복귀시키는 움직임을 시작한다. 

이것과 관련된 용어가 off-shoring(국내 공장의 해외이전)과 re-shoring(해외로 이전한 공장들이 다시 국내로 복귀함)이다.

아빠도 엄마도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실망도 하고, 기뻐도 하는 모습을 보니,

결혼이라는 것의 무거움을 마음 깊이 (느껴요), 이제야서지만.

저는 오히려 안심했습니다. 어깨의 짐이 가벼워졌다고 할까.

아버지가 바라던 아들이 되지 못했는데, 가령 진실이 아니라고 해도 기쁘게 해드려서 좋았다 싶네요.

부모님을 안심시켜드렸다는 점만으로도 이번 일은 의미가 있었습니다.

다행이다.

츠자키 상이 후회라도 하면 어쩌지.

거짓말을 할 수밖에 없어서, 마음의 짐만 더하게 하는게 아닐까?

주변을 설득할 자신이 없어서, 평범한 결혼을 하는 척을 하는게.

도망치는 거라면 도망치는 것. 도망치는 게 좋은 건 아니니까.

도망쳐도 괜찮지 않습니까?

예?

헝가리에 이런 속담이 있습니다.

「도망치는 건 수치, 그래도 도움이 된다」

도움이 된다?

소극적인 선택일지라도 괜찮지 않습니까?

부끄럽게 도망치는 것이라도, 꿋꿋하게 살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런 점에서 이론도 반론도 무시해도.

 도망치는 건 부끄럽지만, 도움이 된다.

예!

그렇네요.

도망치는거라도 꿋꿋이 살아봐요.

(상견례 자리에서 결혼식 없이 결혼하겠다는 자식들의 말을 듣곤)

아버지가 실망하셨어.

엣?

(결혼식의) 버진로드, 미쿠리와 걸을 수 있겠구나라고 생각했거든.

예행연습도 했어. 새로 이사간 집의 복도에서.

 

 

남자가 가정을 갖는다는 건, 모든 걸 걸머지고 책임을 진다는거다.

너에겐 불가능한게 아닐까 생각했었다.

오늘은 기분 좋게 술 한잔 할 수 있을 듯 하구나.

축하한다.

누군가에게 선택받고 싶어

여기에 있어도 좋아라고 인정받고 싶어

그게 사치스러운걸까?

모두들 누군가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고 싶어하지만

그게 쉽지가 않아서

조금씩 조금씩 포기해가면서, 울고 싶은 마음을 애써 웃으며 감춰버리고

그렇게 살아가는 건지도 몰라.

"무슨 일 있었어요?"

"내 동생이 안죽었어요."

"6년 동안이나 안죽고, 이번엔 진짜 죽을 줄 알았는데."

"그렇게 죽기를 바랬는데."

"나 좋아해요?"

"아직도 나 좋아해요?"

"네"

"좋아하지 마요"

"누가 나 좋아한다고 생각하면 약해져요."

"여기서 약해지면.. 진짜 끝장이에요."

"그러니까... 나 좋아하지 마요."

 

"윤선배, 무슨 일 있어?"

"아퍼"

"손톱이 빠졌는데, 이렇게 아플 줄 몰랐어."

"아파서 죽을 것 같아."

"아파서, 진짜 아파서.. 죽을 것 같아"

 

 

"사람들이 수군데는 거 알아요."

"그런거 아니라고 말해줘요."

말할 수 없어.

"손톱 다 나을 때까지 카운터에서 일해."

"앞으로 어려운 일 있으면 뭐 삼촌처럼.."

아무일도 없었다고 말할 수 없다.

그 행동이 어떤 의미인지 그는 알고 있었다.

"고맙습니다."

"그래"

그 행동이 어떤 의미인지 나도 알고 있었다.

그 동안 나는 널 경멸했다.

내가 너보다 잘난 사람이라고 생각했어.

아니었어. 나에겐 그저 너만큼의 유혹이 없었던 것 뿐이야.

거짓말은 화장같은 건지도 모르겠다.

맨 얼굴을 가리기 위해 화장을 하는 것처럼

진심을 들킬까봐 거짓말을 한다.

화장은 점점 진해지고 거짓말은 점점 늘어간다.

언제부터 맨 얼굴이 부끄러워진걸까?

언제부터 진심이 창피해진걸까?

그래. 진심은 저렇게 찌질하고 슬프고 약하니까.

진심이 거절당하면 진짜 아프니까. 쿨한 척, 덜 좋아하는 척, 농담인 척.

나만 참는 줄 알았다

나만 불편한 줄 알았다.

나만 눈치 보는 줄 알았다.

말해도 소용 없을거라는 생각.

말하면 미움 받을거라는 두려움.

비웃을거라는 지레짐작.

그러고 보면 나는 다른 사람들이 나와 다르다고 생각했다.

나보다 무례하고, 난폭하고, 무신경 할거라고 생각했다.

나는 오만했다. 나와 같다. 나와 같은 사람이다.

나만큼 불안하고, 나만큼 머뭇대고, 

나만큼은 착한 사람.

 나도 한때는 백화나무를 타던 소년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시절을 꿈꿀 때가 있습니다.

 내가 심려(心慮)에 지쳤을 때

그리고 인생이 길 없는 숲속과 너무나 같을 때

얼굴이 달고 얼굴이 거미줄에 걸려 간지러울 때

내 눈 하나가 작은 나무 가지에 스쳐 눈물이 흐를 때

나는 잠시 세상을 떠났다가 다시 돌아와 새 시작을 하고 싶습니다.

운명이 나를 잘못 이해하고 반만 내 원(願)을 들어주어 나를 데려갔다가 다시 돌아오지 못하게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이 세상은 사랑하기에 좋은 곳입니다.

더 좋은 세상이 있을 것 같지 않습니다.

 

-----------------------

 

So I was once myself a swinger of birches.

And so I dream of going back to be.

It's when I'm weary of considerations,

And life is too much like a pathless wood

Where your face burns and tickles with the cobwebs broken across it,

and one eye is weeping from a twig's having lashed across it open.

I'd like to get away from earth awhile and then come back to it and begin over.

May no fate willfully misunderstand me and half grant what I wish and snatch me away not to return.

Earth's the right place for love:

I don't know where it's likely to go better.

 

寵利毋居人前 德業毋落人後

총리무거인전 덕업무락인후

受享毋踰分外 修爲毋減分中

수향무유분외 수위무감분중

 

총애(寵愛)와 이익(利益)에는 남의 앞에 나서지 말아야 하고, 덕을 쌓는 일에는 남의 뒤에 처지지 말아야 한다

남에게 받아서 누릴 때에는 분수 밖으로 넘지 말아야 하고, 수양(修養)할 때는 분수 안으로는 줄이지 말아야 한다.

 

 

 

첫째. 이 그래프는 확진자 숫자만을 보여준다. 즉 감염의 발생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코로나 테스트를 얼마나 실시했는가를 염두에 보고 봐야 한다. 

코로나 초기 상황에서 한국의 확진자가 빠르게 증가할 때, 일본이 확진자가 거의 없었다. 하지만 이는 한국이 일본에 비해 20배 이상의 검사를 시행했기 때문이다.  현재 일본이 검사자 숫자를 늘리자 확진자 숫자는 걱정스러울 정도로 올라가고 있다.

 

둘째. 그래프의 Y축이 로그(log) 스케일인 점을 감안해야 한다. 전염병의 감염 증가는 지수의 법칙을 따른다. 지수법칙으로 증가하는 그래프의 Y축을 선형으로 표시하면 Y값의 증가가 너무 크기 때문에 그래프를 보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보통 Y축을 로그 스케일로 비선형적으로 나타내게 된다. 로그 스케일에서 Y값의 2배씩 증가할 수록 실제의 선형값은 10배씩 증가한다. 그러므로 Y값이 올라갈 수록 그래프 상의 미미한 차이는 실제 수백, 수천, 수만배까지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셋째. 모집단의 크기, 즉, 국가별 인구수가 감안되어 있지 않다. 만일 룩셈브루크나 아이슬란드와 같이 확진자 숫자로는 미미한 국가를, 인구규모를 감안하여 인구당 확진자수의 관점에서 보면 심각성이 드러나는 것과 같다. 미국과 중국의 경우 인구수를 감안하면 그래프의 상승 곡선이 조금 완만해지는 효과를 보이긴 한다.

하지만, 인구 숫자가 감염율에 크게 영향을 주진 않는다. 인구수를 감안한 통계는 같은 지역(보통 한 국가)내에서 어떤 지역의 감염율이 높은가에 대한 통계를 볼 때 유효하다. 중국의 우한, 미국의 뉴욕이 이와 같은 예이다.

 

네번째. 이 그래프의 X축은 날짜(date)가 아니라 100번째 환자가 나올때부터이다. 이탈리아는 2월 24일, 터키는 3월 19일 이런 식이다. 그러므로 이 그래프에서는 국가간의 감염의 진척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지 않는다. 

중국에서 수만 명이 감염되고, 이후에 한국, 이탈리아, 이란에서 감염이 발생되기 시작했고, 그 2주후에 미국에서 상황이 시작되었다. 상황이 발생되고 초기에 국가별로 대처방식에 차이가 감염 증가에 큰 원인인 것이 밝혀졌다. 운이 좋은 어떠 나라들은 다른 나라에 비해서 많은 (대비)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그래도 그 운을 살린 나라도 많지는 않다)

 

 

--------------------------

대한민국이 이번 코로나 상황에서 보여준 모든 것들이 정말 원더풀x10000  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