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판 프리티우먼이라고 해야 할까?
23살 성인클럽에서 댄서를 빙자한 직업여성으로 살아가는 애니(아노라라는 러시아식 이름을 좋아하지 않아서 애니라는 예명을 사용).
닳고 닳았지만 가슴 깊은 곳에는 여전히 인간으로서 그리고 여성으로서의 자존심을 지키며 살고자 하는 가녀린 연약함이 살아있다.
드라마의 내용도 좋고 나오는 배우들의 연기도 좋다.
특히 후반부로 갈수록 은근하고 상남자다운 이고르와 아노르의 긴장이 팽팽하게 느껴진다.
현실판 프리티우먼이라고 해야 할까?
23살 성인클럽에서 댄서를 빙자한 직업여성으로 살아가는 애니(아노라라는 러시아식 이름을 좋아하지 않아서 애니라는 예명을 사용).
닳고 닳았지만 가슴 깊은 곳에는 여전히 인간으로서 그리고 여성으로서의 자존심을 지키며 살고자 하는 가녀린 연약함이 살아있다.
드라마의 내용도 좋고 나오는 배우들의 연기도 좋다.
특히 후반부로 갈수록 은근하고 상남자다운 이고르와 아노르의 긴장이 팽팽하게 느껴진다.
하루키의 장편소설은 모두 봤고, 단편집도 모두 봤다.
장편소설은 대부분 2독 이상을 했기 때문에 구성, 내용등을 대부분 기억하지만 단편은 1번 정도만 보았기 때문에 느낌 정도만 기억할 뿐 내용등은 기억하지 못한다. 아주 간혹 단편집을 다시 볼 경우 아 이랬지 하면서 기억이 나곤 하는데, 이 작품의 경우는 완전히 다시 보는 새로움이 느껴질만큼 내용이 기억나는 것이 없었다.
이 단편집을 다시 보게 된 계기는 NHK에서 이 단편소설을 원작으로 특별 드라마 4편을 방영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https://www.nhk.jp/g/blog/pppm2ba8o/
土曜ドラマ「地震のあとで」企画概要と出演者決定のお知らせ
阪神・淡路大震災 あれから30年 村上春樹の珠玉の連作短編を原作にした “地震のあと” の4つの物語 4/5スタート 総合 毎週土曜 よる10時 (全4話)
www.nhk.jp
단편집 '신의 아이들은 모두 춤춘다(神の子どもたちはみな踊る)는 1995년 발생한 고베 대지진(일본에서 공식명칭은 한신/아와지 대지진이다)을 모티브로 하루키가 1999년 8월부터 12월까지 일본의 문예지 신조(新潮)에 연재했던 단편들을 모아서 2000년에 출간한 작품이다. 문예지에 연재했던 작품 5개에 1편을 더해서 총 6편의 단편이 담겨져 있다.
드라마는 이 6편의 단편 중, 4편을 드라마화했다.
1편은 'UFO가 구시로에 내리다(UFOが釧路に降りる), 2편은 '다리미가 있는 풍경(アイロンのある風景), 3편은 '신의 아이들은 모두 춤춘다(神の子どもたちはみな踊る), 4편은 '개구리군, 도쿄를 구하다(続・かえるくん、東京を救う)로
단편집의 '타일랜드'와 '벌꿀 파이'가 제외됐다. 제외된 2편은 사실 드라마적인 구성이나 재미를 연출하기가 어려워서 제외되지 않았나 싶다.
하루키의 작품에 흐르는 일관된 모티브는 '소외된 인간들'에게 '구원'이라는 것이 있는가?와 만약 있다면 그것은 '사랑'이라는 매개로만 가능할 것인가?라는 물음을 담고 있다.
장편에서는 작품내에 놓여지는 여러가지 하루키 특유의 은유적 장치들로 인해 이런 모티브가 잘 드러나지 않는 경향이 있지만 단편의 경우는 이런 장치등이 거의 없이 담백하게 모티브만 드러내기 때문에 쉽게 그런 의도를 읽을 수 있다.
뭐랄까 로봇의 세부 부품들과 겉의 파츠들이 붙어 있지 않은 뼈대 그대로의 상태를 보면 로봇의 메카니즘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그런 상황이라고나 할까?
2000년이면 하루키 작품의 전성기라고나 할까 이야기를 끌고 가는 힘과 내용의 충실함이 최고조에 이르렀을 때이다.
사실상 그 이후 하루키의 작품은 더 이상의 발전이 없었다고 봐야 할 정도로 자기 복제의 연속인 아쉬움이 있다.
이 단편집을 다시 본 소감은, 하루키에게 이 이상의 단편집은 없을 것 같다 싶다.
제랄드 졸링(Gerald Joling, 네덜란드 출생으로 헤라르트 욜링이 원어 발음이지만 제랄드 졸링이 나에겐 훨씬 익숙한 발음이다). 1960년 생이다.
85년 'ticekt to the tropics'의 히트로 이름이 알려졌다. 특히 그의 감미로운 하이테너 발라드는 아시아권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spanish heart는 86년 발표된 곡으로 짚시의 마음을 가진 방랑자를 모티브로 한 감미로운 발라드다.
(가사,해석 출처) https://m.blog.naver.com/dlekskeksk/221492706050
[가사해석]Gerard Joling(제럴드 졸링) - Spanish Heart[음악영상/라이브영상/팝송추천/올드팝]
제가 포스팅하는 모든 노래들, 제가 직접 다 해석합니다♥.♥!!! 사전상 의미를 살리되 문맥에 맞게 최대한...
blog.naver.com
Oh we all have gypsy blood within our veins
And I can't stay too long at the same place
So I laughed it life to tie me down
And I'm the searching kind that must get round
우린 모두 우리 피 속에 집시의 피를 갖고 있잖아
그래서 난 한곳에 오래 머물 수 없지
난 날 묶어두려는 인생을 비웃었어
난 떠돌아다녀야 하는 그런 종류의 사람이지
I have been to every corner of the world
Found the passion of many different girls
I enjoyed a sight of Paris in the spring
Was a begger but I've always felt a king
난 세상의 모든 구석구석을 다 다녀봤지
많은 다른 소녀들의 열정도 찾았었고
봄의 파리를 구경하는 걸 즐겼었지
난 돈은 없었지만 항상 왕 같은 기분이 들곤 했어
When I hear the cold wind calling my name
It's the time that must I go
Though it hurts we have to part
Cause my life's a traveling show
And I've got a spanish heart
차가운 바람이 내 이름을 부르는 걸 들으면
내가 가야 하는 때였지
우리가 헤어져야 하는 게 가슴 아프더라도 말이야
왜냐면 내 인생은 여행을 하는 쇼이고
난 스페인의 마음을 가졌으니깐
We all got a master plan that guides us
We all have a heart that leads the way
We all have our dreams memories of yesterday
우린 모두 우리를 인도하는 마스터플랜을 갖고 있고
길을 이끌어주는 심장을 가지고 있어
우린 모두 지난날 추억의 꿈들을 갖고 있지
It's the time that I must go
Though it hurts we have to part
Cause my life's a traveling show
And I've got a spanish heart
가야 할 때야
우리가 헤어지는 게 가슴 아프더라도
왜냐면 내 인생은 여행을 하는 쇼이고
난 스페인의 마음을 가졌으니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529234?sid=100
외교부, 심우정 딸 채용 의혹 재반박… “특정인 특혜는 부당한 주장”
외교부는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에서 제기하고 있는 심우정 검찰총장 딸에 대한 국립외교원 공무직 채용 절차와 관련, 특혜가 없었다고 재반박했다. 앞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
n.news.naver.com
출처 : 더쿠
https://theqoo.net/hot/3672424836?filter_mode=normal
더쿠 - 심우정 딸 심민경을 떠받드는 외교부 과장
theqoo.net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74009?sid=100
[단독]민주당 '심우정 진상조사단' 출범한다···딸 특혜 채용 의혹 정조준
더불어민주당이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비리 관련 진상조사단' 출범을 유력 검토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민주당은 조사단을 공식 출범하면서 심 총장의 딸이 자격요건 미달에도 불구하고 국립외
n.news.naver.com
퇴마록을 소설로 보고 재밋어서 국내편, 세계편까지 다 보고 나서 혼세편으로 넘어가면서 비슷한 구성과 내용의 반복(드라곤볼 비슷하게 조금씩 주인공들이 성장하고 그에 맞추어 조금씩 더 쎈 악당들이 나오는 것의 반복)에 질리면서 자연스럽게 접게 됐다.
중간에 한번 안성기 주연으로 영화가 나온 적이 있는데 그 영화를 봤는지 안봤는지 기억이 안날 정도로 폭망했다(아마도 안본 듯).
지금 아마 거의 개봉이 끝나갈 즈음인 것 같은데 심심해서 영화 뭐 볼까하다가 이걸 선택.
영화의 평이 두가지로 갈리는 데 개인적으론 매우 재밋었다.
소설에서 나온 해동밀교라든가 주인공의 이력, 특히 이번편이 준후의 이력에 대해 자세하게 나온 프리퀄의 성격이기 때문에 소설을 읽어본 사람들은 아마 흥미를 가질 수밖에는 없을 것 같다.
게다가 애니메이션의 작화 수준이 괜찮다(일본 만화 스즈메라든가 귀멸에 비하면 한참 모자라는 수준이지만 말이다).
준후와 승희가 퇴마사 대열에 합류하면서 시리즈로 퇴마록이 계속 이어졌으면 괜찮은 K콘텐츠 애니가 하나 나올 것 같은데 하는 느낌이 든다.
야마구치 모모에(山口百恵)가 1977년 10월 발표한 곡.
시집간 딸이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내용으로 많은 일본인들의 사랑을 받아온 곡이다.
노래의 작사/작곡자인 싱어송라이터 사다마사시(さだまさし)가 만든 이 노래의 원제목은 '코하루히요리(小春日和, 늦가을에서 초겨울로 접어드는 맑은 날씨와 따스한 기온을 보이는 시기)'였으나, 이 곡을 들은 프로듀서가 '가을 사쿠라(秋桜)'라는 제목을 제안하여 바뀌게 된다. 그리고 작곡가인 사다는 가사의 '가을 사쿠라(秋桜)-코스모스의 일본 이름'의 일본어 독음인 '아키자쿠라'를 '코스모스'로 바꿔 부르게 한다. 이 곡이 크게 히트하면서 秋桜의 일본어 독음이 '아키자쿠라'에서 '코스모스'로 일본 대중들 사이에서 변하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실제 요즘 일본 사전에는 秋桜의 독음이 코스모스라고 쓰여져있다).
듣다보면 언제나 눈물이 흐르곤 하는 시대를 뛰어넘는 명곡이다.
-----------------------
淡紅(うすべに)の秋桜(コスモス)が秋の日の
何気ない陽溜りに揺れている
此頃(このごろ)涙脆(もろ)くなった母が
庭先でひとつ咳をする
연분홍의 코스모스가 가을날
무심히 양지 바른 곳에서 하늘거려요
그 무렵 눈물이 많아진 엄마는
앞뜰에서 한번씩 기침을 하죠
縁側でアルバムを開いては
私の幼い日の思い出を
何度も同じ話くりかえす
独言(ひとりごと)みたいに小さな声で
툇마루에서 앨범은 펼치고는
내 어린 시절의 추억들을
몇 번이고 몇 번이고 이야기하곤 해요
혼잣말같은 조그만 소리로.
こんな小春日和の穏やかな日は
あなたの優しさが浸みて来る
明日嫁ぐ私に苦労はしても
笑い話に時が変えるよ
心配いらないと笑った
이리도 따사로운 늦가을의 고즈넉한 날에는
어머니의 따사로움이 사무치게 그리워져요
다음날 시집가는 나에게 고생이 되더라도
웃으며 얘기하는 날이 올거라며
걱정하지 말라며 웃으셨어요
あれこれと思い出をたどったら
いつの日もひとりではなかったと
今更乍ら我儘(わがまま)な私に
唇かんでいます
이런저런 추억들을 되돌아보니
어느 날 하나 혼자였던 적이 없었구나
이제서야 철없던 나 자신에
입술을 깨물게 되요
明日への荷造りに手を借りて
しばらくは楽し気にいたけれど
突然涙こぼし元気でと
何度も何度もくりかえす母
다음날 떠날 짐을 싸는 것을 도와주시며
잠시 즐거워 보이시더니
갑자기 눈물을 흘리시며 잘 지내라며
몇 번이고 몇 번이고 얘기해주시던 어머니
ありがとうの言葉をかみしめながら
生きてみます私なりに
こんな小春日和の穏やかな日は
もう少しあなたの子供で
いさせてください
감사해요라는 말을 속으로 삼키며
살아가고 있어요 제 나름대로
오늘같은 늦가을 고즈넉히 따스한 날에는
조금만 더 당신의 아이로
있게 해주세요.
Wham 시절 만든 곡으로 1984년 12월 3일 발표되었다. 이후로 전세계에서 수많은 가수가 커버한 불세출의 크리스마스 명곡.
발표된지 40년이 넘어가지만 여전히 겨울시즌만 돌아오면 생각나는 곡 중의 하나이다.
이 곡은 1984년 2월 조지 마이클이 Wham의 멤버이자 친구인 앤드류 리즐리와 자신의 부모님 집에 방문해서 자신의 방 침대에서 뒹굴다가 악상이 떠올라서 만든 곡이다. 당시 기본적인 멜로디와 코러스 라인등을 조지 마이클이 불러줬는데 앤드류 리즐리는 이후에 이 순간을 경이로운 순간이었다라고 회상했다.
[Intro]
(Happy Christmas)
Ah, ah-ah
Ooh-woah
Oh-oh
[Chorus]
Last Christmas, I gave you my heart
But the very next day, you gave it away
This year, to save me from tears
I'll give it to someone special
Last Christmas, I gave you my heart
But the very next day, you gave it away (You gave it away)
This year, to save me from tears
I'll give it to someone special (Special)
[Verse 1]
Once bitten and twice shy
I keep my distance, but you still catch my eye
Tell me, baby, do you recognise me?
Well, it's been a year, it doesn't surprise me
"Happy Christmas," I wrapped it up and sent it
With a note saying, "I love you," I meant it
Now I know what a fool I've been
But if you kissed me now, I know you'd fool me again
[Chorus]
Last Christmas, I gave you my heart
But the very next day, you gave it away (You gave it away)
This year, to save me from tears
I'll give it to someone special (Special)
Last Christmas, I gave you my heart
But the very next day, you gave it away
This year, to save me from tears
I'll give it to someone special (Special, oh)
Oh, oh, baby
[Verse 2]
A crowded room, friends with tired eyes
I'm hiding from you and your soul of ice
My God, I thought you were someone to rely on
Me? I guess I was a shoulder to cry on
A face-on lover with a fire in his heart
A man undercover, but you tore me apart
Ooh-ooh
Now I've found a real love, you'll never fool me again
[Chorus]
Last Christmas, I gave you my heart
But the very next day, you gave it away (You gave it away)
This year, to save me from tears
I'll give it to someone special (Special)
Last Christmas, I gave you my heart
But the very next day, you gave it away (You gave me away)
This year, to save me from tears
I'll give it to someone special (Special)
일본의 전설적인 포크록 밴드 오프 코스의 최대 히트곡이자 그들에게 전일본적인 지명도를 가져단 준 곡.
이 공연은 그들 최고의 시기인 1982년 부도칸에서 열린 공연 중의 일부다.
중기 이후부터는 사이키델릭 록까지 외연을 확장했기에 초기 팬들 중에는 실망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중성은 더욱 높아졌다.
밴드는 1989년에 해체했으나, 밴드의 중추적 멤버인(보칼, 키보드, 기타 및 작사/작곡) 싱어송 라이터 오다 카즈마사(
小田和正)는 최근까지 현역으로 활동하면서 당시의 노래들을 대중과 호흡하는 중이다.
--------------------
もう 終わりだね 君が小さく見える
僕は思わず君を 抱きしめたくなる
이제 끝이야, 당신이 작아져 보여
나는 무심코 당신을 안고 싶어져
「私は泣かないから このままひとりにして」
君のほほを涙が 流れては落ちる
'저는 울지 않으니까 이대로 홀로 내버려둬요'라며
당신의 뺨에는 눈물이 흘러 내리고 있네
「僕らは自由だね」いつかそう話したね
まるで今日のことなんて 思いもしないで
'우리들은 자유야'라며 언젠가 그리 말했었지
정말로 오늘같은 일은 생각도 못한채로
さよなら さよなら さよなら もうすぐ外は白い冬
愛したのはたしかに君だけ そのままの君だけ
안녕, 안녕, 잘있어요, 이미 흰색의 겨울
사랑했던 건 확실히 당신뿐, 그대로의 당신뿐.
愛は哀しいね 僕のかわりに君が
今日は誰かの胸に 眠るかも知れない
사랑은 슬퍼, 나 대신에 당신이
오늘은 누군가에게 안겨서 잠들지도 모르겠어
僕がてれるから 誰も見ていない道を
寄りそい歩ける寒い日が 君は好きだった
내가 수줍어하니 아무도 보지 않는 길을
같이 걸어주던 추운 날이 당신은 좋았지
さよなら さよなら さよなら もうすぐ外は白い冬
愛したのはたしかに君だけ そのままの君だけ
さよなら さよなら さよなら もうすぐ外は白い冬
愛したのはたしかに君だけ そのままの君だけ
さよなら さよなら さよなら もうすぐ外は白い冬
愛したのはたしかに君だけ そのままの君だけ
外は今日も雨 やがて雪になって
僕らの心のなかに 降り積るだろう
降り積るだろう
밖에는 오늘도 비가, 이윽고 눈이 되어서
우리들의 가슴 속에는 내려 쌓이겠지.
내려 쌓이겠지.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終わるはずのない愛が途絶えた
いのち尽きてゆくように
ちがう きっとちがう 心が叫んでる
끝날리 없는 사랑이 끝나버렸어
목숨이 다하기라도 한 것처럼
아니야, 그럴리 없어라며 마음속으로 절규하고 있어
ひとりでは生きてゆけなくて
また 誰れかを愛している
こころ 哀しくて 言葉にできない
혼자서는 살 수 없어서
아직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어
너무 슬퍼서 뭐라 말 할 수가 없어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言葉にできない
뭐라 말 할 수가 없어
せつない嘘をついては
いいわけをのみこんで
果たせぬ あの頃の夢は もう消えた
슬픈 거짓말로
눈물을 삼키고는
이루지 못할 그 시절의 꿈을 이미 지워버렸어
誰のせいでもない
自分がちいさすぎるから
それが くやしくて 言葉にできない
누구의 탓도 아니야
내가 너무 어렸으니까
너무나 원통해서 뭐라 말 할 수가 없어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言葉にできない
뭐라 말 할 수가 없어
もう 今は
하지만 지금은
あなたに会えて ほんとうによかった
嬉しくて 嬉しくて 言葉にできない
당신을 만나서 정말 다행이야
기뻐서 너무 기뻐서 뭐라 말 할 수가 없어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言葉にできない
뭐라 말 할 수가 없어
あなたに会えて ooh
言葉にできない
今あなたに会えて ooh
당신을 만나서
뭐라 말 할 수가 없이 기뻐
지금 당신을 만나서.
일본 NHK에서 1월20일부터 시작한 단편드라마. 매주 월~목 저녁 10시45분에 15분씩 4편을 방송한다. 그 4편이 하나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져있다(일단 첫주 방송을 보니 그렇고 앞으로도 그럴듯).
드라마의 컨셉은 주인공인 시라이는 오오사카(大阪)의 변두리 지역에서 자그마한 제과점의 오너로 5년간 일해왔지만, 4천만원의 빛만 지게 되고 가게를 닫게 된다. 가게의 장비 일체를 인수해줄 인수자를 찾느라 폐업된 가게의 가게세를 내고 있는 상태.
빛과 가게세, 집세, 그리고 생활비까지 빠듯한 경제사정에 디저트 카페와 편의저메서 알바를 하며 버티는 중이다.
그런 가운데 사도야 마나미라는 여성 요리연구가 (아마도 제과점 운영 당시에 손님이었을 것으로 추정)가 접근해, 닫은 제과점의 주방을 자신이 제과교실로 사용료를 내고 쓰자고 제안을 해온다. 경제사정이 어려운 시라이는 탐탁치는 않지만 시간당 이용료 5천엔을 주겠다는 제안을 거절하지 못하고 주방을 빌려주게 된다.
그러면서 그 제과교실에 찾아오는 고객들과 매회 특정한 제과의 만드는 과정을 소개하면서 벌어지는 에피소드들과 주인공 시라이 그리고 요리연구가인 사도야, 그리고 매 에피소드마다 바뀌는 고객들의 사연을 주요한 줄거리로 진행된다.
첫 에피소드를 본 결과 제과를 매개체로 고객의 고민, 사연, 갈등을 풀어나가는 힐링 스토리다.
특히 음식을 매개로 풀어나간 일본 영화의 수작 리틀 포레스트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드라마도 마음에 들게 틀림없다.
물론 리틀 포레스트 정도의 수준에 이르지는 못한다.
2화. 첫 고객은 쥰코라는 젊은 여성.
요리교실은 맨투맨 방식으로 고객은 1명이다.
오늘 만들 제과는 타르트 후루츠(tarts fruits)
쥰코는 외국계 컨설팅 회사에서 근무하는 여성. 일을 잘해낼 경우 자신에게 포상으로 유명 제과점에서 타르트 후루츠를 사먹는데, 그런걸 만들어보고 싶어서 사도야에게 신청해서 오늘 여기에 참석했다.
타르트 후루츠. 아주 비쥬얼이 영롱하다. 딱 봐도 전문가의 솜씨다. 시중에서 이런거 사려면 대략 3~4만원 정도 줘야 할 듯 싶다.
일단 시라이가 제과점을 하면서 만들어놓은 레시피를 참고용으로 준다.
밀가루를 채를 치는 것부터 쩔쩔매는 쥰코.
원래 예정된 요리교실 시간은 2시간. 하지만 고객의 상태를 보니 2시간은 택도 없을 것 같은 느낌. 시라이는 자꾸 시계를 쳐다보고.
채 치는데 한나절.
하아..
톡이 와서 보니, 사도야가 보낸 것.
사도야 : 시계 쳐다보는 것 고만해
시라이 : 연장 요금도 주실거에요?
사도야 : 그래.. 줄게...
이제 버터를 분쇄할 차례.
역시 한바탕 난리.
이제 냉장숙성시킨 생지(生地) - 반죽, 생지가 키지(生地)라는 일본말에서 유례함. 제과제빵업체에서는 그대로 널리 씀 - 를 얇게 펴서 타르트의 용기가 될 빵을 만들어야 함.
반죽을 일정하게 펴는 것도 쉽지 않은 일ㅇ.
제대로 되지 않자 점점 더 긴장하는 쥰코. 좀 과도하게 긴장하는가 싶긴 하다.
어찌해서 베이스를 오븐에 굽긴 했지만 반죽이 펴지는 과정에서 너무 오랜동안 반죽을 만져서 그런지 굽고 보니 일부분이 오버쿡킹이 됐는지 갈변함.
어차피 안에 아몬드 반죽으로 채워넣으니까 별 문제 없다면서 안심시키는 사도야.
아몬드 반죽 채워넣고.
2차 쿠킹해서 타르트 완성.
회사 일때문에 자주 휴대폰을 보는 쥰코. 좀 제과 교실에 성의가 없어보이긴 한다.
셍크림은 시라이가 올려준다.
이제 과일을 원하는대로 컷팅해서 생크림 위에 데코를 할 차례.
난도질 당하는 딸기들.
피를 철철 흘리는 오렌지.
저기 얘들 죽어요.
멘탈 붕괴 상태.
타르트 후르츠의 좋은 예.
타르트 후르츠의 나쁜 예.
그래도 사도야는 정성스럽게 컷팅해서.
케익을 이쁘게 컷팅하는 것도 쉬운일이 아닌데라며 감탄하는 시라이. 이 여자 뭐지?(그렇게 어려운 일인가는 잘모르겠음. 난 그냥 대강 잘라서 먹기 때문에)
맛보라고 자른 조각을 쥰코에서 준다.
자신이 만든 타르트 후르츠를 보고 경악하는 쥰코.
갑자기 주저앉아 오열.
왜 이딴걸 만드는 걸 보고만 있었냐며 도리어 원망.
니가 이해해. 미친년이야.
갑자기 뛰쳐나가는 쥰코. 휴대폰은 가져가라며 시라이가 건네준다.
웬진 모르지만 부들부들 떠는 쥰코.
저런 미친년은 많이 봤다는 듯 자애로운 미소마저 짓는 사도야 센세.
원망스러운 표정으로 뛰쳐나가는 쥰코.
이대로 파국?
쥰코가 뛰쳐나가고 남겨진 타르트 후르츠를 맛보는 사도야. 맛있네. 모양은 저렇지만 재료는 그대로고 제법도 전문제과사가 시간 맞춰 오븐에 구워줬으니 맛이 없을리는 없다.
다음번엔 뭐하면 좋을까?
요리연구가 사도야 마나미 역을 맡은 배우는 나가사쿠 히로미(永作博美), 1970년 생으로 올해 55세.
가수로 데뷔를 했다. 지금 얼굴에서도 보이지만 젊어서는 귀여운 인상의 미모가 돋보였다. 39의 나이인 2009년에 영화작가와 결혼해서 슬하에 아들, 딸 한명씩을 두고 있다.
또 오겠어요?
사도야) 그러지 말고 혹시라도 오면 다음번에 뭘 하면 좋겠어?
시라이) .... 타르트 타탱(Tarte tatin)?
오 타르트 타탱.
이 드라마의 오프닝 크레디트가 바로 타르트 타탱을 막 구워낸 모습이다(그래서 오프닝 크레디트는 매주 바뀐다).
3화 타이틀롤은 시라이가 알바로 일하는 피자가게? 화덕앞에서 도우를 돌리는 뭔가 정통파스러운 피자 가게.
다시 벨 블랑슈 제과 교실.
다시 찾아온 쥰코.
내가 잠시 미쳤었나봐요.
오늘 만들 메뉴는 타르트 타탱.
주요 재료는 화면에도 보이지만 사과다. 타르트에 사과를 듬뿍 올리는 개념인데, 타르트 후르츠와는 달리 제법이 반대다.
일단 사과 심을 파내고, 껍질을 벗긴다. 껍질은 나중에 갈아서 사과를 조릴때 쓰기 때문에 보관한다.
사과가 엄청 빨갛고 맛있어보인다. 일본의 최고 사과산지는 아오모리고 일본 전체 사과생산량의 60% 정도가 아오모리에서 난다.
아오모리 사과는 맛있기로 유명하다. 작년 대한민국의 사과파동으로 사과 상품 5kg 한박스가 10만원을 넘어갈 때 일본사과 수입을 검토한다는 얘기가 있었다. 하지만 후쿠시마에서도 사과가 많이 나기 때문에 일본사과를 수입하려 했다면 국내 반대가 만만치 않았을 것이다.
사과 재료 준비 중에 사도야는 타르트 타탱의 기원에 대해 설명해준다.
옛날 프랑스에서 호텔을 경영하는 두 자매가 애플 파이를 만들면서 실수로 밑에 까는 타르트가 없는채로 사과를 조리를 했는데, 그 위에 뒤늦게 타르트를 올려서 조리 후 남비를 뒤집어서 파이를 꺼낸 것이 타르트 타탱의 기원. 즉 타르트 타탱은 애플 파이의 조리법을 거꾸로 한 것이라는 얘기.
일반적인 애플파이와 달리 타르트 타탱은 버터와 설탕으로 조린 상태의 젤이 사과에 훨씬 오래 스며들고 익으면서 기본 제법의 애플파이보다 더 사과의 풍미가 풍부해지면서, 당시 호텔의 인기 디저트 메뉴가 되었고 그 호텔의 이름과 자매의 성(姓)인 타탱(tatin)을 따서 타르트 타탱(tarts tatin)으로 명명됨. 이후 이 레시피가 전국적으로 퍼져 프랑스의 대표적 디저트가 되었다.
이 타르트 타탱의 요리법 자체가 어느 과정에서 실패를 해도 뒤에 만회할 기회는 있다 뭐 이런걸 의미하는 걸로 이번 에피소드에선 사용된다.
아 그래요?
조리의 첫과정. 버터와 설탕을 넣고 녹여서 나중에 손질된 사과를 넣고 조려줄 베이스를 만든다.
오오
버터와 설탕이 녹는 과정.
을 멍하니 지켜보다가
갑자기 회사일이 생각나는 쥰코.
그러면서 급격하게 공황이 온다.
회사 상사로부터 갈굼을 당하는 장면
허둥대며 어디론가 도망을 가려는 쥰코
공황 발작.
깜짝 놀라는 시라이.
그래도 프로답게 끓고 있는 설탕버터액에 바닐라 투하.
나도 바닐라는 처음 봤다. 바닐라는 콩과의 식물로 저 콩깍지(안에 바닐라 콩이 들었겠지) 자체로 투하.
사도야는 공황이 온 쥰코의 어깨를 토닥거리며 심호흡을 하도록 하고
시라이는 쥰코를 걱정스럽게 지켜보면서도 프로답게 냄비를 젓는 것을 잊지 않는다. 프로는 확실히 다르다.
안정되는 쥰코.
이게 무슨 냄새죠?
예?
바닐란데요.
바닐라가 이렇게 좋은 냄새가 나는군요.
시라이 : 마다가스카르산이니까요(여기 바닐라가 좋은 건가보다)
바닐라향을 음미하는 쥰코(실제로 바닐라향이 긴장을 이완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쥰코는 바닐라가 향료같은 첨가물인 줄 알았다고 하다. 나도 여태 그런줄 알았다. 좀 알아보니 마다가스카르산 바닐라는 위 사진과 같이 1깍지에 2~3천원쯤 한다.
시라이역의 여배우는 이마가 동그랗게 약간 튀어나온게 참 이쁘게 생겼다.
설탕버터액+바닐라빈이 잘 조려진 상태.
이제 여기에 준비된 사과를 넣는다.
꽉 채워넣는게 중요한 듯.
다시 사과가 익기를 기다리는 중.
사실은 자기는 요즘 회사를 쉬고 있는 중이라면서 자기 고백 타임을 갖는 쥰코.
어려서부터 부모님께 인정 받으려고 공부를 열심히해서 동경대에 들어갔고, 경산성(경제산업성, 일본의 중앙부처)에도 합격.
자기는 주변에 인정받기 위해 정말 열심히 했는데, 무엇 하나 잘하는 게 없다면서, 주변 사람들에게 질책만 듣는 생활에 지친 상태를 이야기하다가 다시 공황발작.
갑자기 소리를 지르는 사도야 선생.
질겁하는 시라이. 뭐지? 미친건가?
벙찐 쥰코.
쥰코의 머리속에 속삭이는 귀신을 쫓아내는 중이라며 계속 소리를 지르는 사도야.
눈치보다
따라하는 시라이.
모두 소리를 지르기 시작.
이 장면이 실제로 영상으로 보면 가슴이 따뜻해진다.
자 이제 진정이 됐으니 타르트 타탱 만들기로 돌아간다. 사과 껍질을 버리지 않고 모아서 체에 넣어서 갈아낸다.
여기엔 팩틴이라는 식이섬유가 많다고 한다. 그걸 사과 조리는데 함께 부어준다.
쥰코 역의 배우 도이 시오리(土居 志央梨), 1992년생으로 올해 33세. 데뷔는 2011년이다.
3살부터 발레를 배우기 시작해서 고교때까지 15년간 발레를 배웠다. 프로발레리나가 되려는 생각을 했으나 이대로 인생에 아무것도 않고 발레만 해도 괜찮을까? 라는 생각에 교토조형예술대학 영화학과에 입학하여 배우분야를 전공한다. 이후 연극무대에 다수 출연하면서 연기에 눈을 뜨고 배우의 길을 걷고 있는 중이다.
다 익은 사과위에 타르트 반죽을 얹고 오븐에 넣어서 굽는다. 지켜보는 세 여자
만들어진 타르트 타탱은 하루밤 정도 찬물에 넣어서 식히는 과정을 거친다. 극중에서는 밤을 샐 순 없으니 냉장고에 넣어서 1~2시간 정도 식히는 과정 후에 꺼냈다. 베이커리에서 타르트 타탱을 구매할 경우 냉장고에 넣어서 하루 정도 숙성시킨 후에 차게 먹는게 가장 맛있다고 한다.
다 익은 냄비를 식힌 후에 뒤집어서 타르트를 꺼낸다.
위에 슈가 파우더를 뿌리고
제빵용 토치로 지진다.
그래서 이런 오프닝 영상이 만들어짐.
슈가파우더를 지지면서 먹음직스러운 윤기있고 바삭한 겉면이 완성.
디저트 카페에서 알바 중인 시라이.
점장이 잠시 보자고 한다.
점장이 시라이가 제과점을 경영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래서 해고.(사유는 동종 업계 오너로서 가게의 레시피를 훔쳐갈 위험이 있기 때문이라는)
이 일로 이번화의 주요 내용은 시라이의 방황 그리고 다시 마음을 다잡는 내용이 된다. 제과와 별 상관없는 내용이고 뻔한 클리셰이므로 스킵.
일은 계속해야 하니 다른 빵집에 알바로 취직. 알바 자리는 널리고 널렸다.
.그리고 또 제과교실을 준비하는 시라이.
이런 형태의 에피소드들이 계속 이어진다. 꽤 볼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