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베드로가 예수의 말씀에 닭 울기 전에 네가 세 번 나를 부인하리라 하심이 생각나서 
밖에 나가서 심히 통곡하니라."
 
-마태복음 26장 75-
 
(영화의 감상평 및 평점)
불완전한 인간이 갖는 믿음의 불완전성에 대한 잔인하면서도 치열한 물음.
인간은 언제나 to do(be)와 not to do(be)의 기로에서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는 한계성에
직면하며 그 한계성에 의해 구원에서 멀어지게 된다. 
 
10점 만점에 10점.
 
 
(영화의 핵심내용)
 
낚시꾼(쿠니무라 준, 일본배우로 야쿠자나 그런류로 잘 나오는 배우, 킬빌에서 오렌이시에게 잡종이라고 했다가 목이 뎅강 날라가는 역할로 잠시 나온다.)의 바늘에 꽂힌 지렁이로 시작하는 이 영화의 첫장면(처음엔 뭐야? 뜬금없이라는 생각도 들지만 영화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주제이기도 하다)후에 타이틀이 올라가고, 시골마을에서 일어나는 괴이한 사건으로 시작한다.
 
한적한 마을인 곡성에서 자란 겁많고 소심한 경찰이자 평범하고 찌질한 남편이고 이제 초등학생 3,4학년 정도인 딸의 아버지인 곽도원은 마을에서 발생한 연쇄적인 살인사건을 조사한다.
얼마전에 이 마을로 흘러들어온 괴이한 일본인(쿠니무라 준)에 대한 이상한 소문과 이 사건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와중에 자신의 딸마저도 엮이게 되면서 극은 극적인 긴장 상태로 흘러간다.
 
이후 극은 정체가 애매한 쿠니무라 준과 그를 이 일련의 사태를 가져온 원인으로 확신하는 곽도원과의 대립을 둘러싸고 전개되어간다.
 
극의 긴장이 더해지고 막판으로 갈수록 패륜적인 사건으로 발전하는 것은 불편하지만 감독이 주제를 드러내는 장치로서 훌륭히 작용한다.
 
내 개인적으로는 극의 흐름을 따라가면서 곽도원에 이입될때도 있었고 그와 반대의 입장에 설때도 있었는데 그것이 극 막판의 반전과 함께 "인간의 믿음"이 악의 유혹에 얼마나 속절없으며 선이 내미는 손길을 끝내 의심하고 져버리는 나약함에 가슴 아팠다.
 
믿음이라는 주제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할 수 있게 하는 훌륭한 작품이다.
 
 
 

 

 

첫장면부터 신시티의 미쟝센의 영향을 받았음을 그대로 드러낸다. 신시티의 색조가 어둡고 원색적이라면, 홍길동은 조금 더 밝고 중간적이며, 초반부의 음울한 분위기에서 결말로 갈수록 색조는 밝아진 것 같은 느낌이다.

 

이 감독의 전작은 송중기와 박보영의 늑대소년이다. 늑대소년도 기저에 깔려있는 악의 배후에는 인간이 가진 탐욕과 그로 인한 잔인함이 순수함을 짓밟는다는 모티브가 있었는데, 홍길동 역시 그런면이 있는 듯 하다. 감독의 성향일까?

 

기존의 우리가 가진 홍길동이라는 의적 그리고 해학적 이미지와는 스타일적으로 많이 동떨어져 있다. 원작의 서자라는 출생 배경보다는 훨씬 어두운 출생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듯하다(아마도 속편에서 밝혀지지 않을까? 거의 감독이 속편을 염두에 두고 제작한 듯 한데, 내 개인적으론 3,4백만 정돈 무난하지 않을까 싶다. 지금 시빌워랑 맞붙는게 조금 염려스럽긴 한데 시빌워랑은 쟝르적으로 완전히 차별화가 될 듯 싶다)

 

김성균이 맡은 상대 악당역은 상당히 포스가 있어서 괜찮았다. 하지만 고아라는 얼굴마담역 이외에는 별로 활약이 없어서 아쉽다. 신시티처럼 화끈한 멜로도 좀 넣어줬으면 어떨까 싶지만 그러면 청소년관람불가가 될테니 흥행적인 면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할거다.

 

아역의 동이와 말순, 특히 말순이는 극의 재미와 몰입도 그리고 무게를 잡는 성인배우들때문에

무거워지는 분위기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톡톡히 한다.

 

이제훈과 김성균이라는 배우를 믿고 봤고 연기적으로도 기대를 져버리지 않았고 그닥 특색있는 스토리라고 볼 순 없지만 신시티적 미쟝센과 한국적인 스토리와 풍광을 잘 어우러지게

연출한 솜씨는 감독이 만만치 않은 내공을 가지고 있음을 짐작케한다.

 

10점 만점중 8.4점.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 같은 삶.

꽃피지 않았던 젊음이기에 더 아름답고, 피어나지 못했던 시이기에 더 가슴을 울린다.

 

윤동주의 서시, 자화상 무엇하나 아름답지 않은 시가 없지만,

이 영화를 보고 나니 그 시들속에 깃들어 있는 시대의 아픔과 그의 고뇌가

마음으로 이해가 된다.

 

이 영화는 한국인에게는 진실로 울림이 있는 작품이다.

 평이 극과 극으로 나뉘는 영화인 것 같다.

 

나는 매우 재밋게 봤다. 좀비 영화긴 하지만 호러물처럼 공포를 극대화하기보다는 액션과 플롯에 집중한 작품.

소설이 원작인데 보질 않았기 때문에 비교할 순 없다.

 

기존의 좀비물과는 기본적인 구성과 개념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 꽤 신선한 느낌이다.

 

킬링타임용 블록버스터로서는 별로 나무랄 데가 없다.

 

줄거리 전체적으로는 크리스토퍼 리브의 오리지날 수퍼맨과 같다.

 

과거의 수퍼맨이 어린이용 만화와 같다면, 이번의 수퍼맨은 어른을 위한 코믹스라고 해야할 듯 하다.

 

단순한 선과 악의 이분법적인 스토리를 벗어나, 마치 보수의 구세대와 진보의 신세대간의 갈등을 스토리의 큰 축으로

삼으려는 의도가 보인다.

 

현대의 영화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수퍼영웅들의 전투장면을 드라곤볼 같은 만화를 실사로 보여주는 경지에까지 이르렀다.

 

미국 우월주의의 약간은 오글거림은 헐리우드 히어로 영화에서 어쩔 수 없이 보이는 티라 하겠다.

 



그랬다. 그동안 우리는 아줌마의 등쌀에 밀려 아저씨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망각했었다.

이웃을 위해 그동안 수많은 로맨틱 가이들이 아저씨의 몸으로 총구에 불을 뿜으며 악당들을 응징해왔던가.
지금은 사회의 주축이 된 7080세대는, 선그라스에 바바리, 그리고 성냥을 질끈 씹으며 쌍권총을 애용했던 주윤발과,
항상 이웃과 접촉을 피하며 홀로 외로이 창문의 난을 키우며 자신의 마음을 들키지 않았던 말이 없는 히트맨 레옹에
열광했었지만, 정작 대한민국의 아저씨로서의 아이덴티티를 내세울 수 있는 캐릭터를 우리는 여태까지 가질 수 없었다.

이 영화로 옆집 아저씨들을 다시 보는 계기가 될 수 있었으면...... (ㅋㅋㅋ 내가 써놨지만 이건 무슨 개소리냐?)

대척점에 서는 악당의 캐릭터도 그리 약하지는 않았지만 원빈표 아저씨의 캐릭터는 설정이 너무 강하고, 배우도 너무
강해서.. 결국 영웅본색(추룡이 있다), 레옹(개리 올드맨이 있다)과 같은 느와르 명작을 뛰어넘는 원맨 캐릭터 
명작이 탄생하고 말았다.

아저씨, 스타일리쉬라는 것이 단순한 비쥬얼로만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해주는 영화다.





씁쓸한 동화 한편을 보는 느낌.

가진 것은 없으나 인간으로의 존엄을 가진 존재가,
가진 것은 많으나 인간의 감정을 이해 못하는 그들만의 자폐증에 걸린 그룹에서
유린되가는 모습을 군더더기 없이 보여주었다.

결말은 순수하고 잔인해지지 못하는 인간이 취할 수 있는 최대의 반발이겠으나,,,
이에 세례받은 영혼은 나미뿐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전도연은 해피엔드에서 보여주었던 팜므파탈의 대척점을 보여준다.
이정재, 윤여정, 서우의 주요배우의 앙상블은 훌륭하다.

평가는 9점 정도 되겠다.

1편보다 잘만든 2편은.. 참으로 힘든듯.

스토리는 전혀 없으며, 개연성이란건 개나 줘버린다는 자세로 때리고, 부수고, 호화롭고 섹시하게 그저 즐기면 된다.

왜 우리는 30년전에 이미 깡통로봇이라는 훌륭한 콘텐츠를 만들어놓고도, 그걸 세계적인 아이템으로 살리지 못하는지.

미쿡넘들 참 돈 쉽게 벌어요~~~ 부러워~~~

 


캐스팅 자체가 말도 안되는 사기급이다.
향후 50년내로 이러한 조합의 캐스팅은 나올수가 없다고 본다.



 

전우치전. 어린시절 만화로 봤던 기억이 난다. 잠시 검색을 해봤더니 조선 중종조 어지러운 시절
민중을 위하여 블라블라블라...

어쨋든 영화는 스타일리쉬하다.

시대의 간지남 강동원을 캐스팅 할 때부터의 영화의 방향은 정해졌다고 봐야 할 듯.
폼生폼死.


적대구도의 김윤석도 기존의 옆집 아저씨의 분위기에서 스타일리쉬. 주연 여배우인 임수정뿐 아니라, 초반 요괴역으로 나오는 선우선마저도... 장난 아닌 스타일리쉬를 보여준다.

백윤식의 카리스마와 아주 잠시 나이트씬에서 보여지는 김효진까지, 대놓고 감독은 한 스타일리쉬함을 보여준다.


2시간이 남는 시간이지만 지루한 느낌이 드는 때는 없었다. 그러나 엔딩 크레딧이 오르면서 여운 또한 남지 않는 스타일리쉬한 킬링타임용 영화라고나 할까. 현대로 무대를 옮기기 위해서 드라마적인 요소를 너무 희생시키지는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긴 한다. 그래도 가죽재킷의 강동원의 간지는 정말 압권이긴 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