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김부장을 죽였나, 김영선 2018, 中 인용>

 <토요타의 어둠>을 쓴 와타나베 마사히로도 과로사가 1980년대부터 두드러진 사회적 현상임을 지적한다. 이 시기 토요타는 생산과정 내 모든 비용의 최소화를 목표로 적기 생산 방식(Just in Time, JIT)을 도입해 한 때 '세계 경영의 교과서'로 거론됐다. 그런데 이러한 생산 방식은 '마른 수건 쥐어짜기'식 노무관리로 악명이 높았고, 과로로 인한 사망사고가 심각했다. 전현직 직원들은 토요타를 '작은 북한'이라고 비하할 정도였다. 노동과정의 변화와 노동자 건강의 변화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

 2008년 무렵, 회사에서 토요타 생산방식(TPS, Toyota Production System)에 대한 4박5일의 연수를 가게 되었다.

 첫째날에는 나고야의 토요타 산업기술 기념관을 견학하고, 이틀째부터는 나고야에서 1시간 거리의 토요타의 협력업체인 기후차체공업(岐阜車体工業)이라는 기후현 카카미가하라시(各務原市) 소재의 차체(샤시) 생산 업체에서 3박4일간의 연수를 실시하는 일정이었다.

 이 연수는 전사(全社) 차원에서 혁신부서의 스탭 전체와 개발/설계/제조/QA/자재의 중견(주임 및 선임급) 엔지니어들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차수당 인원은 20명 정도로 총 50차(총 인원 1,000명 수준) 정도로 추진되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당시 회사는 새로운 CEO의 취임과 함께 경영혁신의 일환으로 토요타의 JIT의 물류/제조 방식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활용되는 눈에보이는 관리기법인 간판(看板)방식을 벤치마킹해서 현장에 접목하려는 시도중이었으며, 사무기술직에게는 JIT의 실시간 물류관리의 핵심인 시간관리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낭비제거라는 슬로건을 걸고, 사무기술직의 실시간 업무시의 단위시간별 시간표(time table)을 주고 업무시간, 회의시간, 담배피러 가는 시간, 식사 시간, 화장실 가는 시간까지 철저하게 분석하게 하는 시간측정(?)이라는 무시무시한 만행을 저지르고 있는 중이었다.

- 이 부분은 프로세스가 확립되어 있고, 작업이 구체화되는 생산 활동 부문에서 낭비요소를 제거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활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기법이다. 하지만, 사무/기술직과 같이 주로 머리속에서 추상적 프로세스를 통해 업무가 이루어지는 이들에게는 아마 굉장히 황당한 요구였을 것이다. 물론 난 CEO가 그런 터무니없는 지시를 직접 지시했을거라곤 생각하지 않는다. 아마도 까라면 까는 회사의 문화와 융통성 없는 중간 관리자들이 터무니없는 요구를 그대로 수용하는 수직적,획일적 비효율 구조가 만들어낸 웃지 못하 해프닝일 것이다. 하지만 이 해프닝이 무려 1년이나 지속되면서 조직에 씻을 수 없는 낭비를 안겨주고 혁신활동에 대한 고급인력들의 마음 속에 깊은 반감을 심어준 것은 뼈아픈 일이다.-

 어쨋든 1일차 토요타 산업 기술관에서는 토요타 설립자의 자동차에 대한 사랑과 그의 업적에 대한 시청각 자료를 견학하고, 토요타의 첫번째 차부터 시작해서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라인업과, 당시로서는 첨단인 로봇을 구경하면서 가볍게 일정을 스타트했다. 

 첫째날을 나고야에서 묶고, 이튿날 아침 식사 후에 단체버스를 타고 카카미가하라로 향했다. 중간에 강을 가로지르는 꽤 큰 다리를 지나서 기후차체 공장에 도착하고는 곧바로 3박4일간의 연수가 시작되었다. 

 이 동네는 그리 크지는 않은 마을로 토요타 차체 정공이라는 토요타 계열의 회사와 우리가 방문한 기후차체공업에 상당한 수의 주민들이 다니고 있다. 그래서 이 마을은 토요타라는 회사에 의해서 운영되는 동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한다.(마치 포항이 포항제철로, 기흥이 삼성전자로 먹고사는 것을 생각하면 될 듯)

 기후차체에서는 TPS를 벤치마킹해서 GPS(Gifu 차체 Production System)이라는 이름의 혁신활동을 진행하고 있었다. 듣기론 이 회사의 사장등의 고위직들도 모두 전임 토요타 직원으로서 기후차체가 토요타의 협력업체로 선정되면서 토요타의 생산방식을 도입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이 회사로 파견 혹은 이직한 케이스가 많다고 했다. 

 3박4일간의 일정은 오전에는 GPS에 대해 프리젠테이션을 통한 설명을 통해, 이론과 실례를 듣고 오후에는 설명으로 들은 예들을 라인에서 실제로 견학하는 순서로 이루어졌다. 마지막 4일째는 그간 연수의 소감과 연수의 결과를 한국에 돌아가서 어떻게 현업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 발표가 있었기 때문에 실제 공장을 둘러보는 것은 이틀이었다.

 벌써 10년 정도가 지났기 때문에 당시 연수과정에서 보고 들었던 실무적 부분이 구체적으론 기억이 나지 않지만, 아직도 내 뇌리에서 또렷이 기억나는 한 가지가 있다.

 TPS의 가장 핵심적인 작업효율화 방식은, (주로 컨베이어 벨트방식과 같은 일관작업에 적용되는) 작업을 쪼갤 수 있는 단위로 모두 쪼갠 후 그 단위작업들에 대해 최대의 효율화를 디자인 하는데 있다. 효율화 기법은 몇 가지 대표적인 것이 있는데 1) 없애는 것 2) 합치는 것 3) 순서를 바꾸는 것 등을 통해 동선을 최소화하고 낭비를 없애는 것이 기본적인 사상이다. 

 그렇다고 기존의 작업방법도 오랜 기간을 걸쳐서 이러한 효율화와 낭비제거의 과정을 거쳐왔던 것이기 때문에 아무리 단위작업들을 쪼개고 그것을 분석한다 해도 쉽게는 보이지 않는다. 이 과정을 엔지니어와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의견을 교환하고 토론을 해서 이리저리 안을 짜내고 변경을 시도해서 효과를 분석하고 실행해나가는 과정이 지리하게 반복되는 것이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 기존의 작업시간을 절반정도로 줄이는데 성공한 공정 하나를 견학하게 되었다. 기본적인 차의 골격이 오면 거기에 부품 하나를 붙이는 공정이었는데 작업자는 한 명이었고, 기존의 작업시간은 10분(사실 정확한 작업시간은 기억나진 않는다. 그저 예를 드는 정도로 이해하자.) 정도였다. 하지만 작업대를 재설계하고 작업자의 동선과 회전반경을 최소화시켜서 그 시간을 5분으로 줄이는데 성공하면서, 전후 공정과의 tact time을 일치시키면서 2명이던 작업자를 한 명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해졌다.

 참고로 견학 당시는 야간작업이 없어 작업자는 주간근무(8시부터 5시)만 수행했으며, 오전 2시간 근무후 휴식 10분, 점심시간 1시간, 오후 2시간 근무후 휴식 10분으로 휴식시간이 정해져있었다. 특이하다고 생각해서 기억이 나는 것은 작업장에서 담배를 피러 외부로 나갈 경우 10분의 휴식시간이 모자라기 때문에 작업장 가까운 곳에 재떨이와 음료수 자판기가 설치되어 있고, 작업자는 휴식시간 10분 동안 충분히 담배 1대 정도는 여유있게 필 수 있는 여건이 되어 있었다.(일본은 여전히 한국보다 담배에 대한 혐오가 거의 없는지 매우 인심이 후하다. 식당에서도 여전히 자리에 앉은 채 담배를 필 수 있는 곳이 많다. )

 개선된 작업시간 5분, 시간당 12대의 차체가 지나가면서 작업자는 동일한 작업을 반복한다. 충분히 동선의 효율화를 꾀했고 작업자의 숙련도도 높기 때문에 언뜻 보면 그렇게 바쁘게 지나가는 것으론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를 인솔했던 강사가 설명을 하면서 우리 팀 20명이 그 작업을 지켜보던 한 20여분간 4대의 차가 지나가면서 동일하게 반복되는 그의 작업을 지켜보다가 난 문득 이상하게도 슬퍼졌다. 아마도 그 슬픔은 그 작업을 내가 하고 있으면 어떨까라는 감정이입이 무심결에 되면서 생겨났던 거였을거라고 짐작한다.(실제 그 작업자는 그 작업을 좋아할 수도 있을거고, 곧 있을 점심시간 혹은 퇴근후 만날 애인 생각에 신이 났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저 무심히 지나가는 차에 자신이 해야하는 공정의 부품을 달고, 볼트를 죄고, 제대로 조립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일련의 과정을 무표정하게 진행하는 그의 모습에서는 무언가 적막한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그의 전후의 작업자와는 꽤 거리가 멀고 소음도 상당하기 때문에 일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주변 작업자와 이야기나 소통을 할 방법이 거의 없다. 다만, 비상시 자기 자리에서 잡아당길 수 있는 끈이 매달려 있는데 이 끈을 당기면 모든 작업이 중단되고 즉시 엔지니어가 호출된다. 즉, 작업이 궤도에 오르면 그가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은 그 끈 하나밖에는 없는 것이다.

 비즈니스의 최대 선은 부가가치의 창출이고 비즈니스 주체는 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입력을 최소화하고 출력을 최대화하는 방법을 끊임없이 모색한다. 산업의 고도화가 이루어지면서 현대의 산업은 인간을 위협하는 비인간적 요소 역시 개선해나가고 있긴 하다. 그러나 그 고도화를 통해 인간의 물리적,육체적 생존을 위협하는 눈에 보이는 요소들은 제거되어가고 있으나, 그간 우리가 겪지 못했던 소외요소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바로, 끊임없는 반복을 통해서 겪게 되는 권태, 주변과의 소통의 부재를 통해 겪는 외로움등이다. 권태와 외로움은 북적대는 대도시속에서 아이러니하게도 더 절실하게 와닿는 감정중 하나이다. 모두 같이 일을 하지만, 모두가 남이 무엇을 하는지 정확히 모르는 칸막이가 되어 있는 소외의 파티션속에서 모두가 자신만의 권태와 외로움과 고군분투하는 것이 현대인의 삶의 대강적인 모습의 하나가 아닐까 싶다.

 그래서 10여 년이 지난 지금도 날것 그대로의 금속의 검은 은빛의 차체와 씨름을 하고 있는 그 작업자의 모습이 아직도 나에겐 슬프게만 느껴진다.

   

 

 

 

 

 

 

 

 

 

 

+ Recent posts